스태콤은 전기를 송ㆍ배전 할 때 손실되는 전압(무효전력)을 보충해 전력 운송의 안정성을 높이는 설비로 풍력이나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발전시 기상 상황에 따라 발전량이 급변하더라도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해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이다.
국내에선 효성만 생산 가능한 제품인 스태콤은 신재생 에너지 발전 증가로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중요해지면서 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기존에 무효전력 보상장치로 주로 사용돼 왔던 SVC에 비해 반응속도가 빠르고, 설치면적이 70% 내외 수준으로 작아 전력 시장의 기대가 큰 제품이다.
효성은 오는 9월까지 스태콤을 공급하면 서울 및 수도권 전력계통의 전압안정도가 향상되어 전력효율이 높아짐은 물론 갑작스런 전력수요의 변동에도 한층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한 이번 제품 공급으로 스태콤 운영 노하우가 축적돼 전압형 HVDC(High Voltage Direct Current, 초고압 직류 송전) 국산화 기술 개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정부가 지난해부터 추진하고 있는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및 장기송배전설비계획’에 따라 중장기적으로 전국 송배전로에 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돼 향후 효성의 수주 물량이 늘어날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