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 중국 대사관 개관식 23일 열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1-23 18:1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중국 대사관의 '명동시대' 11년 만에 열려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23일 서울 중구 명동에서 주한 중국대사관 개관식이 열렸다.

지난해 명동 신축 대사관 건물이  완공되면서 지난 2002년 재건축을 위해 인근 효자동으로 이전한 중국 대사관이 최근 이전 작업을 마치고 11년만에 명동에 공식 복귀한 것이다.

명동에 새로 신축한 중국 대사관 건물면적은 1만7199㎡로 주한 외교공관 중 가장 크다. 미국 대사관(9871㎡)의 약 2배이며, 주한 러시아대사관(1만2012㎡)보다도 크다. 중국 해외 공관 가운데서도 미국 워싱턴의 주미 중국 대사관 다음으로 큰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대사관 신축 건물은 모두 2개동으로 각각 24층, 10층 높이로 지어졌다. 하나는 업무용으로, 다른 하나는 직원 숙소용이다. 모두 최신식으로 지어졌으며 수영장·체력단련실·미용실 등 편의·레저시설도 구비했다. 건물 앞 정원에는 중국식 전통 정원이 들어서고 분수대와 중앙광장, 산책코스도 마련됐다.

주한 중국대사관이 명동의 새로운 ‘랜드마크’로 떠오르면서 명동도 과거 차이나타운의 명성을 되찾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대사관에서 중앙우체국 방향으로 나 있는 ‘관전가(官前街·관청 앞길)’에는 화교 맛집들이 빼곡히 들어서 있다. 특히 최근 중국인 관광객이 급증하면서 명동은 서울 관광의 빼놓을 수 없는 코스로 자리잡았다.

한편 이날 중국대사관 개관 행사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강조하고 있는 부정부패 척결, 호화연회 금지 등 변화에 발맞춰 `조촐`하게 열린 것으로 알려졌다.

◇명동 중국 대사관 역사

명동 중국대사관은 조선말 포도대장(경찰청장에 해당)을 지낸 이경하의 집터였다. 1882년 임오군란이 터지자 청나라는 3500명의 청군을 파병해 용산 등 서울 각지에 주둔시켰다. 명동 중국대사관 자리도 청군의 주둔지 중 하나였다. 이곳에서 원세개(袁世凱)는 1885년부터 1894년 청일전쟁 때까지 10년 동안 머물렀다. 1940년대 중일전쟁 기간에는 일본이 중국에 세운 괴뢰 정권인 왕징웨이(汪精衛) 정부의 영사관으로 쓰이다가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대만대사관으로 사용됐다. 1992년 한·중 수교 체결후 중국이 대만으로부터 땅과 건물을 넘겨받으며 중국대사관으로 쓰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아주NM&C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