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면 조세회피처인 케이만아일랜드 외국인 투자자는 10년새 약 4배로 증가했다.
2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내 상장주식과 상장채권에 투자하는 외국인은 3만7611명으로 전년 말보다 5.4% 늘어나는 데 그쳤다.
외국인 투자자는 10년 전인 2003년 말 1만5335명으로 지금의 절반 수준이었으나 이후 지속적으로 늘어 2006년(2만635명) 2만명 선을 넘은 데 이어 2010년(3만1060명) 3만명 선도 돌파했다.
최근 증가세는 이어지고 있지만, 지난해 외국인 투자자 증가 폭은 최근 10년새 최저였다.
매년 10% 안팎에서 늘었던 외국인 투자자가 세계 금융위기가 닥친 2008년 말에는 전년 말보다 11.9% 늘기도 했다.
이후 증가 폭은 2009년 8.7%, 2010년 11.0%로 증감을 반복하다가 이후에는 줄곧 감소세를 보여 2011년 8.3%, 2012년 6.1%에 이어 지난해에는 5%대까지 떨어졌다.
외국인이 지난해 사들인 상장주식 규모는 4조7240억원에 그쳐 전년(17조6300억원)보다 73.2% 급감했다.
반면 지난 2004년 말 투자자가 불과 780명이던 케이만아일랜드는 지난해 말 2907명으로 늘어 약 10년새 3.7배로 증가했다. 케이만아일랜드는 조세회피처라는 점에서 주목받는 곳이다.
같은 기간에 전체 외국인 투자자가 2.2배로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케이만아일랜드 투자자의 증가 폭은 훨씬 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