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배상희 기자 = 일본이 위안부 강제동원 사실을 부인하며 피해자들에 대한 보상과 사죄를 거부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과 중국, 일본 학자들이 위안부 관련 문건의 세계 기록유산 등재를 추진하는 등 위안부 국제 연대 강화에 나섰다.
한중일 학자들은 9일 중국 상하이(上海)사범대학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한중일 학술회의’에 참석해 일본군 위안부 연구 성과 발표와 문제 해결을 위안 방안을 논의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학자들은 한국과 중국, 일본에 흩어져 있는 사료들을 발굴하기 위해 자료 조사를 확대하고, 수집된 자료는 인터넷 사이트에 공개해 데이터베이스화 하기로 했다. 또 해마다 정기적인 학술회의를 마련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실상을 전 세계에 알리기로 했다.
아울러 한국과 중국, 일본을 비롯해 다른 피해지역인 인도네시아, 필리핀, 대만, 네덜란드 등과 군(軍) 위안부 문제에 대한 관심을 가진 세계 각국의 연구자들과 국제적인 연대 강화를 모색해 나갈 예정이다.
특히, 이번 회의에 참석한 연구자를 중심으로 일본군 위안부관련 문건을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해 적극 나설 방침이다.
얼마전 공개된 '난징(南京)대학살' 관련 문건 등 일본의 중국 침략 자료를 보관하고 있는 중국 제2역사당안관의 마천두(馬振犢) 부관장은 "학술연구를 통해 일본의 잘못된 인식을 바꿔나가야 한다"며 "연구자들이 찾아오면 소장 자료들을 적극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8일부터 이어진 이날 회의에는 이신철 성균관대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교수, 부핑(步平) 전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장, 후지나가 다케시(藤永壯) 일본 오사카산업대 교수 등을 비롯해 30여 명의 한중일 학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한국과 중국 학자들은 일본군이 2차 세계대전 당시 위안부를 강제 동원하고 위안소를 운영하는 데 직접 관여했다는 단서가 되는 공식 문건들을 공개해 위안부 문제 논의의 새로운 단서를 마련했다.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일본은 2차 대전 당시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감추기 위해 위안부 강제동원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을 법한 부서의 자료를 조직적으로 소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한국인 피해자보다 많은 총 20만명의 중국인 부녀자를 강제연행해 위안부를 운영것으로 밝혀졌다.
앞서 한국 여성가족부도 지난달 일본군 위안부관련 자료의 현황을 조사해 2017년 유네스코 세계 기록유산 등재 신청 준비에 나설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