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각 자치구, 소방서 등과 합동점검팀을 꾸려 시설물 관리 실태와 비상사태 대응체계를 점검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지하철역사와 장애인·청소년 복지시설 등 다중이용시설에 대한 안전감사는 오는 12일부터 28일까지 소화기 위치 및 작동 여부, 피난구유도등, 방독면 구비 여부, 비상방송설비 등 시설물 관리 실태와 화재 등 비상사태가 발생했을 때 대응체계를 집중 점검한다.
점검 대상 시설은 이용자수가 많거나 최근 화재가 발생한 적이 있는 지하철역 48개소와 시설이 노후한 복지시설 115개소 등 총 163개소다.
여기엔 시 감사관, 자치구, 소방서 직원을 포함해 60명 내외의 대규모 합동감사반이 투입된다.
이어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특별 소방감사는 오는 24일부터 내달 14일까지 간이 스프링클러, 자동화재탐지기 등 화재 초기 진화를 위한 소방 시설이 모두 갖춰져 있고 또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점검한다.
특히, 치매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이 대부분인 시설의 특성상 불이 나면 대형인명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화재발생시 대응체계가 적절하게 이루어지는지 등을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마련한다.
점검대상은 서울시내 616개 노인요양시설 중 수용인원이 많거나 화재에 취약한 200여 개 노후 시설이다. 시내 4개 권역으로 나눠 서울시와 소방서 직원 16명이 8개 조로 합동감사반을 편성, 점검에 나선다.
송병춘 서울시 감사관은 "이번 합동감사를 통해 시민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를 꼼꼼히 점검해 안전 위험요소를 사전에 조치할 것"이라면서 "안전관리 점검을 담당하는 관계 공무원들의 안전불감증을 불식시키고 책임성을 높이는데 중점을 둘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