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경남기업에 따르면 신한은행 등 채권단은 이 같은 내용의 정상화 방안에 합의하고 오는 13일 이행약정(MOU)을 체결한다.
경영정상화 계획 약정이 체결되면 경남기업의 모든 채권행사는 2016년 말까지 유예된다. 경남기업과 채권단은 그동안 워크아웃을 끝낼 계획이다.
채권단은 경남기업에 3800억원의 현금과 500억원의 지급보증, 전환사채(CB) 1000억원 발행 등 총 5300억원의 지원 방안을 추진한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경남기업에 대한 종합적인 금융지원 방안이 채권단 익스포저 비율 기준상 89.9%의 찬성으로 최종 가결됐다”며 “신규 자금집행은 14일 이뤄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워크아웃을 통해 회사가 정상화하면 성완종 회장이 채권단에 주식 우선매수청구권을 요구할 수 있는 조항도 정상화 계획에 포함됐다.
이번 워크아웃으로 1000억원을 출자전환(부채를 주식으로 전환)하면 최대주주인 성 회장과 특수관계인 보유 지분이 44.41%에서 19.60%로 낮아진다.
따라서 성 회장은 최대주주의 지위를 잃게 되며 채권단이 55.86%의 지분을 확보해 대주주로 올라선다. 은행별로는 수출입은행 12.3%, 신한은행 7.3%, 산업은행 7.2% 등이다.
경남기업은 또 채권단과 베트남 최고층 건물인 랜드마크72빌딩의 매각주간사 선정작업에 착수, 내년 말까지 매각하기로 합의했다.
베트남 랜드마크72빌딩은 백화점과 영화관, 아파트, 오피스, 레지던스 등을 갖춘 350m의 초고층 건물로 지난해 말 기준 감정평가액이 1조원에 달한다.
경남기업은 베트남 랜드마크72의 무리한 사업 추진으로 자금난에 빠졌다.
채권단 관계자는 “경남기업은 사업구조상 관급공사 비중이 높고 다른 건설사와 달리 잠재부실 가능성이 큰 국내 주택사업이 거의 없다는 강점을 지녔다”며 “경남기업 재기의 관건은 광주수완에너지 발전사업과 베트남 랜드마크72빌딩 조기 매각을 통한 자금 조달”이라고 설명했다.
경남기업은 앞으로 조직 개편 등을 통해 관리비를 낮추는 등 강도높은 자구계획을 이행할 계획이다.
시공능력 국내 21위 건설사인 경남기업은 유동성 위기에 시달리다 지난해 10월 두번째 워크아웃을 신청한 바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