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2/14/20140214144525248901.jpg)
최근 공기업에 대한 대대적인 개혁이 예고되는 가운데 ‘신의 직장’으로 불리는 공항공사의 도덕적 해이가 도마 위에 오르면서 역풍을 맞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특히 이번 의혹으로 취임 당시 자격 논란을 빚었던 김 사장의 리더십이 다시 재검증을 받아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고개를 들고 있다.
14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공항공사의 운항 안전장비 설계·제작·사후관리 전반에 대해 민간 전문가가 참여한 조사단이 다음달까지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앞서 일부 언론은 공항공사가 군용 장비인 전술항행표지시설(TACAN)을 공군에 납품하려고 검사 결과를 조작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 언론에 따르면 공항공사는 TACAN 국산화를 명목으로 지난 2010년 중소업체에 개발·제조를 의뢰했지만 성능 미달로 비행검사에서 여러 차례 탈락하자 검사 결과를 조작했으며, 해외 입찰에 나서기도 했다.
지난해 국정감사에서도 공항공사는 전술항행표지시설 납품 기일을 어겨 29억원을 배상했다는 지적을 받았다.
직원들의 도덕적 해이도 수면 위로 떠올랐다. 한 언론은 최근 공항공사 협력업체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공항공사 직원들이 거액의 금품을 요구하고 해외 출장에 동행해 술값과 밥값을 내도록 하게 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감사원도 공항공사 직원들이 협력업체에서 금품을 받은 의혹을 감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공항공사는 지난해 10월 김석기 전 서울경찰청장의 사장 선임 당시 정부의 전형적인 낙하산 인사라는 반발이 나오면서 김 사장의 비전문성을 이유로 자격 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