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올해 2조2666억원 공적개발원조…신흥국 '상생나무' 심는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2-17 09:3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한국경제 성장전략으로 발돋움

  • 우리나라 이미지 개선에 큰 역할

아주경제 배군득 기자 = 박근혜 정부가 내수 활성화와 더불어 신흥국 공략을 위한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 G2(미국·중국) 경제의 불확실성 등 대외변수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한국 경제의 기초체력도 다지기 위한 방안으로 신흥국을 주목하고 있는 셈이다.

신흥국은 최근 미국 양적완화 축소로 인해 통화가치가 하락하면서 심각한 금융불안이 지속되고 있다. 이 같은 불안감이 지속되면서 신흥국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선진국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우리 정부 역시 신흥국 시장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이미지 개선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공적개발원조(이하 ODA) 사업을 확대하는 것도 이 같은 맥락에서다.

우리나라는 올해 ODA 총규모를 약 2조2666억원으로 잡았다. 이는 지난해 대비 약 2255억원(11%) 증가한 수치이며, 국민총소득(GDP)의 0.16%에 해당한다.

무상협력 총사업비는 7890억원으로 27개 기관이 72개국을 대상으로 816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시아 중점지원 기조를 유지하면서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등 최빈국 지원도 늘리기로 했다.

우리나라 ODA는 아시아와 아프리카에 편중돼 있다. 아시아 ODA 규모는 7234억원으로 전체 ODA의 46.9%를 차지한다. 아프리카는 2575억원, 16.7%다. 주로 교통·수자원·교육 등 경제·사회 인프라 위주로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가 지난 2009년부터 캄보디아·스리랑카·태국·짐바브웨·우간다·세네갈 등 아시아·아프리카 신흥국에 농업 현안을 해결할 맞춤형 기술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는 게 신흥국 지원의 좋은 사례로 꼽힌다.

케냐에서는 감자·고구마 생산성 향상방법, 파라과이에서는 벼 품종 적응성 검정기술, 브라질에서는 버섯 유전자원 교환 및 재배기술 등 선진농업기술을 전파하고 있다.

고용부에서는 지난 2012년부터 신흥국을 대상으로 전문인력 양성 해외자문단을 운영 중이다. 베트남의 경우 해외자문단이 전수해준 내용을 고용법에 적용해 지난해 11월 의회에서 이를 통과시켰다.

또 지난해 4월에는 미얀마에 산업안전보건법 재정을 지원했고, 7월에는 몽골 울란바타르에서 한·몽골 인력수급분야 정책자문 사업에 관한 협력약정을 체결하는 등 활발한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

이처럼 정부의 적극적인 신흥국 원조사업에 힘입어 중소기업들은 신흥국을 '기회의 땅'으로 삼고 있다. 위험도가 높지만 한국에 대한 이미지 개선이 이뤄지면서 접근성이 좋아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다.

아시아 주요 신흥국과 중국 내륙 등을 중소기업들은 앞으로 진출할 유망지역으로 선호하고 있다. 중국 내륙, 미얀마, 베트남, 인도네시아, 브라질 등 신흥국을 대상으로 지난해 우리나라 기업 투자금액 중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가 1~3위를 차지한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아프리카는 최근 경제개발 필수요소인 도로·철도·발전·항만 등 인프라 관련 개발 프로젝트들이 급속히 등장하면서 인프라 시장이 새로운 블루칩으로 떠올랐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신흥국은 우리 경제의 체질개선에 중요한 성장전략으로 발돋움하고 있다"며 "단순히 수출이나 생산기지 측면이 아니라 문화·교육 등 다양한 요구에 따라 우리 정부가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ODA 확대 기조를 지속 유지하는 가운데 협력국과 상생, 협업 내재화 및 ODA 전략 보완 등을 통한 성과 제고에 중점을 둘 것"이라며 "협력국의 요청과 수요에 기반한 수요반영 시스템으로 개선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