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둘째이상 출생아 30년새 반토막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3-04 07:0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김정우 기자 = 둘째·셋째 출생아 수가 첫째 출생아보다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생 없는 아이들’이 상대적으로 늘고 있는 것이다.

4일 통계청의 '2013년 출생·사망통계(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둘째아 출생아 수는 16만5900명, 셋째아 이상 출생아 수는 4만5300명으로 둘째아 이상으로 태어난 아이는 모두 21만1200명이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상 출생아 수는 1981년도만 해도 50만명이 넘었다. 그러나 1983년 42만여명, 1993년 34만여명, 2003년 24만여명, 2011년 23만여명에서 2013년 21만여명으로 급감하는 추세다.

1983년 이후 30년새 둘째 이상 출생아가 21만4000명(50.3%) 줄어든 셈이다.

첫째 출생아 수가 34만4208명에서 22만4700명으로 34.7% 줄어든 것과 비교해도 둘째 이상 출생아의 감소폭은 더 급격하다.

1981년에는 첫째로 태어난 아이(35만5314명)와 동생으로 태어난 아이(51만2085명)의 비율이 4대 6으로 동생 쪽이 더 많았다.

그러나 2013년에는 첫째 출생아(22만여명)가 동생 출생아(21만여명)보다 많아졌다.

지난해 한국의 합계출산율(여자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초저출산국'에 해당하는 1.19명이다. 다자녀의 기준이 '아이 셋'에서 '아이 둘'로 바뀐 것이다.

'동생'을 낳지 않는 사회 현상은 여성의 결혼 시기가 점차 늦어지고 사회적으로 양육환경이 좋지 않아서다.

윤연옥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출산율 자체가 낮은데다 만혼으로 고령 산모가 많아지다 보니 아이를 낳아도 둘째까지는 낳지 않는 경우가 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