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책에는 8개 부처, 12개 무역지원기관, 17개 광역지자체의 지원계획을 취합해 작성된 '무역·통상 진흥을 위한 종합계획'이 담겨있다.
구체적으로는 올해 수출액 6000억 달러 목표 설정과 중소·중견기업 수출역량 제고 등 3대 기본방향과 11개의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특히 11개의 정책과제 중 △역량 있는 수출 전문기업을 전문무역상사로 지정 △국내 중계·가공무역 활성화를 위한 수출품 원산지제도 개선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현지법인을 활용한 재고금융 신설 △해외인증 획득지원 콜센터(1381) 개통 등은 올해 새롭게 도입·추진된다.
우선 유망 내수기업의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역량 있는 수출 전문기업을 전문무역상사로 지정하고, 제품 발굴·수출에 필요한 마케팅·금융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산업부는 지난해 12월 대외무역법을 개정해 전문무역상사의 법적 근거를 마련한 바 있다. 지정요건 등을 포함한 세부운영기준을 마련해 오는 7월부터 제도를 본격 시행할 예정이다.
수출품 원산지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대외무역관리규정을 상반기 중 개정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 일정 기준 이상의 부가가치를 창출한 경우 한국산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수출용 원부자재의 효율적 조달을 지원하기 위해 해외 공급업체 및 국내 수입업체 DB를 구축해 수입정보 제공도 확대한다.
또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현지법인을 활용한 가공무역 활성화를 위해 재고금융(Inventory Financing) 신설, 단기수출보험(EFF) 지원범위 확대 등 무역금융 지원도 강화할 방침이다.
최근 급증하는 비관세장벽에 대한 대응력 제고를 위해 해외인증 획득지원 콜센터(1381)를 개통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수출 중소·중견기업의 해외인증 획득과 관련된 애로를 원스톱으로 해결하고, 무역기술장벽(TBT) 전문정보사이트(www.Knowtbt.kr)를 통해 기술규제에 대한 정보제공을 강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올해 무역·통상시책 및 중앙과 지방 수출지원기관들의 지원사업 등이 담긴 책자를 제작해 수출기업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할 예정이다. 수출기업이 손쉽게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통합무역정보서비스(www.Tradenavi.or.kr)에 무역 단계별(기획→마케팅→이행→관리)로 기관별 지원내용도 안내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