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14일 오전 6시 현재 살처분을 완료한 닭과 오리는 1015만8000수, 오늘 중 살처분 계획은 70만1000수로 총 1085만9000수에 이른다. 이는 지난 2008년 AI 발생 당시, 살처분된 수 1020만 마리를 넘어선 역대 최대치이다.
고창에서 첫 발병한 AI는 58일 만에 제주를 제외한 전국으로 확산돼 이날 현재 34건의 AI 감염의심 신고가 접수됐으며 28건이 고병원성 H5N8형 AI로 확진됐다.
감염의심 신고가 접수된 지역은 전북 7곳, 전남 6곳, 충남 5곳, 충북 4곳, 경기 4곳, 경남 1곳, 세종 1곳 등이다.
감염신고가 들어오지는 않았으나 경북 경주의 산란계 농장에서도 AI가 발생했다. 강원 원주 섬강 주변에서 채취한 철새 분변에서도 고병원성 AI 바이러스가 검출됐다.
방역당국은 AI가 발병지에서 사람이나 차량에 묻어 다른 지역으로 퍼지는 '수평전파'를 막기 위해 발병농가를 중심으로 반경 500m, 3㎞, 10㎞마다 '3중 포위 방역망'을 치고 축산시설 소독과 차량 이동을 통제했다.
더불어 방역당국은 AI를 발병 초기에 근절하기 위해 사상 처음으로 1차(1월19일 오전 0시∼20일 자정)·2차(1월27일 오전 6시∼오후 6시) '일시 이동중지 명령'(standstill)을 내리고 모든 축산차량과 축사를 소독하는 강수를 뒀다.
그러나 서해안권의 철새도래지를 옮겨다니며 AI 바이러스에 오염된 분변과 깃털을 퍼뜨린 철새를 완벽하게 막아내지는 못했다.
이번 AI의 발병원인으로 추정되는 가창오리떼는 최대 40만 마리까지 국내에 들어와 겨울을 보냈으며, 농림축산검역본부가 가창오리를 포획해 AI 감염 여부를 조사한 결과 약 40%가 AI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하게 계산하면 15만 마리 가까운 가창오리가 AI에 감염된 채 철새도래지 주변 논·밭에 AI 바이러스를 퍼뜨린 셈이다.
여기에 정부의 방역노력에도 일부지역에서는 AI의 수평전파가 이뤄진 것으로 드러났다.
충북 음성에서는 일부 농가가 AI 감염의심 신고를 하지 않아 발병농가 반경 3㎞ 이내에 있는 가금농가 31곳 중 26곳이 AI에 오염됐고, 경북 경주와 경기 안성의 산란계 농장은 경기 평택의 종계 농장에서 AI에 감염된 병아리를 분양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과학원 천안 축산자원개발부 내 오리축사에서도 AI가 발병하면서 첨단 시설을 갖춘 국가 연구기관에서도 AI 발병을 막지 못했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다.
다만, 이번 AI 확산의 주원인으로 추정되는 가창오리가 10일께 대거 북상, AI 종식이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관측된다.
환경부에 따르면 10일 기준 전국 주요 7개 철새 도래지의 가창오리 개체수는 총 2만6천240마리로 집계됐는데 이는 AI 발병 초기인 1월24∼26일 시행한 1차 조류 동시센서스 당시 관찰된 36만5천117마리의 7.2%에 불과한 숫자다.
주이석 농림축산검역본부 동물질병관리부장은 "AI를 확산시킨 철새가 날아간 것은 분명 긍정적인 신호"이라며 "사람이나 차량에 의해 바이러스가 전파되는 수평전파만 잘 막으면 3월 말 정도에 정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그동안 4차례 발생한 AI 살처분수를 보면 △2003년12월10일~2004년3월20일 102일간 진행된 제1차 AI 사태때는 10개시군 392농가에서 가금류 529만마리가 살처분됐고 △2차(2006년11월22일~2007년3월6일)는 5개시군 460가구 280만마리 △4차(2010년12월29일~2011년5월16일)에는 286가구 647만마리가 매몰처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