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 중국
  • AI
  • 산업
  • 재테크
  • 경제
  • 정치
  • 사회
  • 국제
  • 포토
  • 문화·연예
  • 中文
  • English
  • 日本語
  • Tiếng Việt
월가 "중국, 위안 환율 변동폭 더 확대해야 한다"
로그인
  • 중국
  • 경제
  • 마켓
  • 정치
  • 일반
  • 옌타이
  • AI
  • AI기술
  • AI기업
  • AI정책
  • 통신·방송
  • 포털·게임
  • 과학
  • 산업
  • 전자
  • 자동차
  • 중화학
  • 조선·철강
  • 항공
  • 유통
  • 제약·바이오
  • 중기·벤처
  • 재테크
  • 금융
  • 증권
  • 부동산
  • 경제
  • 경제·정책
  • 경제일반
  • 정치
  • 대통령실
  • 외교
  • 북한·국방
  • 국회
  • 정당
  • 사회
  • 기획·취재
  • 법원
  • 검찰
  • 사건·사고
  • 일반
  • 인사
  • 부고
  • 국제
  • 경제·마켓
  • 정치
  • 일반
  • 포토
  • 포토뉴스
  • 광화문갤러리
  • 화보
  • 문화·연예
  • 문화
  • 여행·레저
  • 연예
  • 스포츠
  • 보도자료
  • 경제
  • 정치·사회
  • 금융
  • 증권
  • 부동산
  • 산업
  • 성장·기업
  • IT·모바일
  • 생활경제
  • 지역
  • 중국
  • AI
  • 산업
  • 재테크
  • 경제
  • 정치
  • 사회
  • 국제
  • 포토
  • 문화·연예
  • 보도자료
  • 뉴스Q new
  • 랭킹뉴스
  • Focus Lab new
  • 기원상의 팩트체크
  • 아주경제적인 1분
  • 아주PICK
  • 디지털랩 편성표
  • NNA가 본 아시아
  • Deep Insight
  • 뉴스플러스
  • 아주돋보기
  • 기자뉴스
  • 포럼·행사
  • ABC
  • 아주프레스
  • 아주일보
  • 이코노믹데일리
  • 아주로앤피
  • 지면보기
  • 구독신청
  • 기사제보
회원가입 로그인

월가 "중국, 위안 환율 변동폭 더 확대해야 한다"

입력 2014-03-17 16:00
  • 기사공유
  • 폰트크기
아주경제 배인선 기자 = 중국이 두배 확대한 위안화 환율 변동폭을 더욱 완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도 크다. 인민은행이 여전히 환율을 통제하기 때문에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16일(현지시간) 위안화가 자유롭게 거래되기 위해선 환율 변동폭 확대 이상의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환율 변동폭을 둔 건 인민은행의 통제카드라고 지적했다. ANZ의 류리강 이코노미스트는 "지난 2012년에도 환율 변동폭을 확대했으나 시장 패턴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며 "기술적 조정만으로 환시장 움직임을 바꿀 수 없다"고 설명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인민은행이 위안 환율 변동폭 확대로 이전보다 환시장에 덜 개입하게 됐으며 경기완화책을 취할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일각에서는 중국 환율을 무역 가중치를 고려한 통화바스켓에 고정하는 방안도 제기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추천 기사
  • 시한 지났는데 전공의 복귀 미미한 수준...271명 추가돼 누적 565명 시한 지났는데 전공의 복귀 '미미한 수준'...271명 추가돼 누적 565명
  •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
  • 한동훈 함께 정치하고 싶다…김영주 늦지 않게 답할 것 한동훈 "함께 정치하고 싶다"…김영주 "늦지 않게 답할 것"
  • 4일 동교동계 국회 발표…민주당 공천 파동 내홍 격화 4일 동교동계 국회 발표…민주당 '공천 파동' 내홍 격화
  • 尹 3·1운동은 모두가 풍요 누리는 통일로 완결... 한일, 세계 평화·번영 파트너 尹 "3·1운동은 모두가 풍요 누리는 통일로 완결... 한일, 세계 평화·번영 파트너"
  • 의협 의사들 자유 시민 자격 인정받지 못해…압수수색에 분노 의협 "의사들 자유 시민 자격 인정받지 못해"…압수수색에 분노
트렌드 뉴스>
기사 클릭수가 많은 순으로 제공된 기사입니다.
  1. 1 2025년 초복·중복·말복은 언제?
    2025년 초복·중복·말복은 언제?
  2. 2 태풍 꼬마이·크로사로 中·日 '비상'…세기 어느정도 길래?
    태풍 꼬마이·크로사로 中·日 '비상'…세기 어느정도 길래?
  3. 3 학력 논란 끝 사망?...심리학자 김민지, '부고장' 공개
    학력 논란 끝 사망?...심리학자 김민지, '부고장' 공개
  4. 4 러 초강진, 일본 쓰나미 여파에 '7월 대지진설 예측' 타츠키 료 재조명…누리꾼 '술렁'
    러 초강진, 일본 쓰나미 여파에 '7월 대지진설 예측' 타츠키 료 재조명…누리꾼 '술렁'
  5. 5 홋카이도 동남쪽서 규모 5.3 지진…"삿포로서 167km 떨어진 지역"
    홋카이도 동남쪽서 규모 5.3 지진…"삿포로서 167km 떨어진 지역"
실시간 뉴스
실시간 속보를 제공해 드립니다.
07.31 08:44
  • 2분전 [속보]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익 4조6761억… 전년比 55%↓
  • 2분전 [속보]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4조6천761억원…작년 대비 55.2%↓
  • 2분전 [속보] 삼성전자, 2분기 매출 74조5663억...전년 比 0.67%↑
  • 3분전 [속보] 정책실장 "美측 '수익 90% 가진다' 언급…재투자 개념으로 이해"
  • 3분전 퓨리오사AI, 시리즈C 브릿지 1700억원 유치… '유니콘 진입'
아주돋보기>
연예, 스포츠 분야에서 가볍게 읽기 좋은 뉴스를 제공해 드립니다.
  • 졌는데 무슨 소용?…"일본보다 우리가 더 잘했다" 홍명보 인터뷰 '부글부글'
    [아주돋보기] 졌는데 무슨 소용?…"일본보다 우리가 더 잘했다" 홍명보 인터뷰 부글부글
  • '운명의 맞대결' 한국, 일본 꺾고 동아시안컵 최강자 입증할까
    [아주돋보기] 운명의 맞대결 한국, 일본 꺾고 동아시안컵 최강자 입증할까
  • 한화·롯데·KIA, 지방팀의 '약진'…KBO 역대 최초 전반기 700만 관중 돌파 '위업'
    [아주돋보기] 한화·롯데·KIA, 지방팀의 약진…KBO 역대 최초 전반기 700만 관중 돌파 위업
  • "후배들 생계 위해·kt 코치들 부담" 이종범 '최걍야구' 출연 인터뷰, 진정성은 '글쎄'
    [아주돋보기] "후배들 생계 위해·kt 코치들 부담" 이종범 최걍야구 출연 인터뷰, 진정성은 글쎄
  • 제작진 vs 방송사 누구 힘이 더 셀까…'최강야구' 윤곽, '불꽃야구'와 본격 경쟁
    [아주돋보기] 제작진 vs 방송사 누구 힘이 더 셀까…최강야구 윤곽, 불꽃야구와 본격 경쟁
글로벌 뉴스
  • "위험한 도박" '한미 조선업 협력' 경계하는 中 관영언론
    위험한 도박 한미 조선업 협력 경계하는 中 관영언론
  • '터줏대감' 유비테크 vs '샛별' 유니트리...中휴머노이드 로봇 각축전
    [ASIA Biz] 터줏대감 유비테크 vs 샛별 유니트리...中휴머노이드 로봇 각축전
  • 사극을 빌린 신랄한 현실 풍자 영화 '장안의 리치'
    [중국 화양영화] 사극을 빌린 신랄한 현실 풍자 영화 장안의 리치
중국뉴스 더보기>
  • 한-베트남, 전략적 관계 강화…핀테크·혁신기술 협력 확대 논의
    한-베트남, 전략적 관계 강화…핀테크·혁신기술 협력 확대 논의
  • 김상식 베트남 축구감독, '더블 우승'으로 동남아 축구 역사 새로 쓰다
    김상식 베트남 축구감독, 더블 우승으로 동남아 축구 역사 새로 쓰다
  •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 양극화 심화…8만 개 이상 소형 셀러 주문 '0건'
    베트남 전자상거래 시장 양극화 심화…8만 개 이상 소형 셀러 주문 0건
일본뉴스 더보기>
  • 일본 외무성, 내달 경제안보・AI 전문 부서 신설…"경제 외교 강화"
    일본 외무성, 내달 경제안보・AI 전문 부서 신설…"경제 외교 강화"
  • 日태평양 연안 쓰나미 경보 발령 "즉시 대피하라"..."현 시점 피해 없어"
    日태평양 연안 쓰나미 경보 발령 "즉시 대피하라"..."현 시점 피해 없어"
  • 버티는 이시바에 여론도 "퇴진 반대"…엇갈리는 당심과 민심
    버티는 이시바에 여론도 "퇴진 반대"…엇갈리는 당심과 민심
베트남뉴스 더보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 취소
  • 삭제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 취소
  • 로그인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 확인
닫기
  • 회사소개
  • 구독신청
  • 채용안내
  • 기사제보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저작권 규약
  • 고충처리
  • 사이트맵
  • RSS
  •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 개인정보처리방침
  • 청소년보호정책
  • 사이트맵
아주경제
  • 정기간행등록번호 : 서울 아 00493
  • 회장·발행인 : 곽영길
  • 사장·편집인 : 임규진
  • 청소년보호책임자 : 전운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 1길 42(수송동 146-1) 이마빌딩 11층
  • 전화 : 02-767-1500
  • 발행일자 : 2007년 11월 15일
  • 등록일자 : 2008년 01월10일

아주경제는 인터넷신문윤리위원회 윤리강령을 준수합니다. 아주경제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Copyright ⓒ AJU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