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이처럼 미국이 주도하는 형태의 3자 회담을 전격 수용한 것은 회담을 거부할 경우 그 부담을 고스란히 우리 측이 떠안을 수 있다는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다음 달 한일 순방을 앞두고 미국 측이 관계 개선을 강하게 요구해온데다 아베 총리가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동원을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 담화의 계승 입장을 거듭 밝히는 등 '성의 표시'를 한게 우리 측 기류변화에 영향을 줬다.
또 일본 정부가 당초 오는 26일로 예정된 교과서 검정결과 발표를 4월초로 연기한 것도 우리 측 부담을 덜어준 요인으로 꼽힌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그동안 우리 정부는 일본과 올바른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한일관계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기조를 밝혀왔다"며 "우리 정부가 이런 대일 기조를 확고히 유지해온 결과 최근 아베 총리로부터 국회에서 무라야마 담화와 고노 담화를 계승하겠다는 입장 표명을 끌어냈다"고 밝혔다.
민 대변인은 또 "이어 최근 일본 외무성으로부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4월 중순에 우리 측과 진지하게 협의해나가겠다는 의사를 전달받았다"며 "그간 우리의 원칙에 입각한 외교적 노력과 일본 측의 어느 정도 자세 변화가 이번 핵안보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일 정상회담을 가능케 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정상회담에서 3국 정상은 핵의 평화적 이용과 비확산을 주제로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의 취지에 맞게 북핵 위협과 이에 대비한 3각공조의 틀을 전반적으로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비록 3자회담이기는 하지만 처음으로 마주한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도 관계 개선의 가능성을 타진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외교부의 발표처럼 과거사 등 양자 문제가 직접 거론되지는 않을 전망이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다음 달 한일 순방을 앞두고 미국 측이 관계 개선을 강하게 요구해온데다 아베 총리가 일본군 위안부의 강제동원을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 담화의 계승 입장을 거듭 밝히는 등 '성의 표시'를 한게 우리 측 기류변화에 영향을 줬다.
또 일본 정부가 당초 오는 26일로 예정된 교과서 검정결과 발표를 4월초로 연기한 것도 우리 측 부담을 덜어준 요인으로 꼽힌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그동안 우리 정부는 일본과 올바른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한일관계를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기조를 밝혀왔다"며 "우리 정부가 이런 대일 기조를 확고히 유지해온 결과 최근 아베 총리로부터 국회에서 무라야마 담화와 고노 담화를 계승하겠다는 입장 표명을 끌어냈다"고 밝혔다.
민 대변인은 또 "이어 최근 일본 외무성으로부터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를 4월 중순에 우리 측과 진지하게 협의해나가겠다는 의사를 전달받았다"며 "그간 우리의 원칙에 입각한 외교적 노력과 일본 측의 어느 정도 자세 변화가 이번 핵안보정상회의를 계기로 한미일 정상회담을 가능케 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정상회담에서 3국 정상은 핵의 평화적 이용과 비확산을 주제로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의의 취지에 맞게 북핵 위협과 이에 대비한 3각공조의 틀을 전반적으로 점검할 것으로 보인다.
비록 3자회담이기는 하지만 처음으로 마주한 박 대통령과 아베 총리도 관계 개선의 가능성을 타진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외교부의 발표처럼 과거사 등 양자 문제가 직접 거론되지는 않을 전망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