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수리 게놈정보 확보…질병에 강한 특이 유전자 확인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3-31 12:0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국립중앙과학관 등 혈액 샘플 분석

백운기 박사

아주경제 이한선 기자 = 국내연구진이 독수리의 게놈정보를 확보했다.

국립중앙과학관은 테라젠바이오연구소, 문화재청,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와 공동으로 세계 최초로 독수리 게놈 정보를 분석하는데 성공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은 두 마리의 살아있는 독수리의 혈액 샘플을 이용해 세계 최초로 독수리의 DNA와 RNA 서열을 생산했다.

게놈서열 분석을 통해 20만개의 독수리 유전자를 규명한 결과 독수리는 면역과 위산의 분비와 관련된 유전자가 특이적으로 변화됐다는 것을 확인했다.

독수리가 썩은 고기를 먹는에도 질병 및 병원균 감염이 되지 않는 이유를 유전자 분석을 통해 설명할 수 있는 단서를 찾은 것이다.

독수리 게놈 정보를 분석한 테라젠바이오연구소 소장 박종화 박사는 “독수리의 경우 유전정보가 밝혀져 있는 매와 진화적으로 약 8000만년 전에 분기됐음을 확인했다”며 “진화적으로 근연종과 오래전에 분기된 독수리의 경우 유전자의 규명이 매우 중요하다”고 밝혔다.

사람과 같이 기존의 게놈 정보가 알려진 경우와 달리 독수리처럼 유전체 정보를 처음으로 규명하는 경우에는 정교한 분석기술을 필요로 한다.

연구팀은 첨단 차세대 DNA 해독기와 바이오인포매틱스 기술을 활용해 5개월간 분석하고 독수리 게놈 정보를 확보했다.

프로젝트 총 책임자인 국립중앙과학관 백운기 과장은 “유전정보 분석을 통해 독수리 연구에 획기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됐다”며 “이번 연구가 멸종위기 조류의 종 보존을 위한 게놈연구분야의 한 이정표”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지원으로 수행됐다.

독수리 게놈 및 분석 결과 정보는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ftp://ftp.kobic.re.kr/pub/Eurasian_vulture)를 통해 공개했다.

국립중앙과학관, 게놈연구재단,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는 향후 국내 자연사 참조표본 유전체정보의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 한국 자연사 참조표본 유전체 컨소시움을 구축할 예정이다.

독수리는 국제적인 멸종위기종 준위협종(IUCN),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제243-1호, 멸종위기야생동식물 2급으로 지정돼 보호받고 있는 희귀종으로 가축 등의 동물 사체를 먹어 치뤄 사체로부터 발생하는 탄저균 등 병균이 사람과 동물을 감염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생태계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번식지인 몽골지역의 축산업 변화로 먹이자원인 가축의 사체가 감소하고 각종 독극물과 수의약품에 노출돼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최근 독수리의 생태․과학적 분석과 독수리 보호를 위한 한-몽간 협의가 진행됐으나 이들의 유전자를 확보하고 전장 유전체 및 전사체를 분석해 생리기작, 생태적 형태적 특징을 밝히는 분자적 수준의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문화재청이 실시한 전국 48개소 독수리 월동지역의 실태조사 결과 지속적인 먹이주기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월동하는 개체군이 점차 증가하고 있어 독수리 보호를 위한 우리나라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