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이병욱 기자 =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산하 ‘노사정 사회적 논의 촉진을 위한 소위원회(이하 노사정소위)’는 7일 제3차 대표자회의를 열고 근로시간 단축, 노사관게 개선 및 통상임금에 대한 논의 내용을 최종 점검했다.
노사정소위는 일단 오는 9일과 10일 환노위 주관으로 공청회를 열어 각계의 의견을 수렴한 뒤 11∼14일 집중 협상에 들어가 법률안을 마련하거나 합의문을 작성해 오는 15일 환노위 전체회의에 보고할 예정이다.
입법화하지 못한 의제 등에 대해선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에 실속 있는 권고안을 제시해 계속 논의를 이어가도록 할 계획이다.
노사정소위 소속 새누리당 이종훈 의원은 회의 직후 브리핑을 통해 “3대 의제에 대해 노사정 간 입장 차를 확인한 것을 포함해 매우 진솔한 의견개진이 있었다”며 “다만 ‘패키지 딜’인 만큼 어느 안을 어느 선까지 할 것인지 확정은 안 됐다”고 말했다.
지난 2월 구성된 노사정 소위는 그간 2차례 대표자 회의를 비롯해 대표교섭단 회의, 지원단 회의를 통해 근로시간 단축 등 주요 의제에 대한 노사정의 견해를 확인하고 합의점 도출을 위해 노력해 왔다.
갑작스러운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기업의 부담을 줄이도록 노사가 합의할 땐 1년의 6개월은 주 8시간을 추가 근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충안도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통상임금에 대해서는 어떤 명목의 임금까지 통상임금으로 볼 것인지,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논의를 더 거친 뒤 입법화하는 게 바람직한지 등을 두고 이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사·노정 관계 개선안도 노동계와 경영계가 각각 제안한 7대, 9대 과제를 두고 균형 있게 논의했으나 최종 접점은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노사정소위는 일단 오는 9일과 10일 환노위 주관으로 공청회를 열어 각계의 의견을 수렴한 뒤 11∼14일 집중 협상에 들어가 법률안을 마련하거나 합의문을 작성해 오는 15일 환노위 전체회의에 보고할 예정이다.
입법화하지 못한 의제 등에 대해선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에 실속 있는 권고안을 제시해 계속 논의를 이어가도록 할 계획이다.
노사정소위 소속 새누리당 이종훈 의원은 회의 직후 브리핑을 통해 “3대 의제에 대해 노사정 간 입장 차를 확인한 것을 포함해 매우 진솔한 의견개진이 있었다”며 “다만 ‘패키지 딜’인 만큼 어느 안을 어느 선까지 할 것인지 확정은 안 됐다”고 말했다.
지난 2월 구성된 노사정 소위는 그간 2차례 대표자 회의를 비롯해 대표교섭단 회의, 지원단 회의를 통해 근로시간 단축 등 주요 의제에 대한 노사정의 견해를 확인하고 합의점 도출을 위해 노력해 왔다.
갑작스러운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기업의 부담을 줄이도록 노사가 합의할 땐 1년의 6개월은 주 8시간을 추가 근로할 수 있도록 하는 절충안도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다.
통상임금에 대해서는 어떤 명목의 임금까지 통상임금으로 볼 것인지, 경제사회발전노사정위원회 논의를 더 거친 뒤 입법화하는 게 바람직한지 등을 두고 이견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노사·노정 관계 개선안도 노동계와 경영계가 각각 제안한 7대, 9대 과제를 두고 균형 있게 논의했으나 최종 접점은 찾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