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장·글로벌산업으로 경제 외연을 넓히면서 사회적경제로 내부 동력을 회복해 경제 재도약을 노린다는데 초점을 맞췄다.
핵심은 창조․혁신의 ‘융복합경제’ 완성, 리더십·협력의 ‘글로벌경제’ 그리고 상생·지속의 ‘공존경제’를 구현하는 것이다.
시는 먼저 IT융복합산업을 중심으로 첨단산업에 창조산업을 융합해 신성장산업 발전으로 연결하는 융복합 경제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창조경제·미래성장동력·글로벌비즈니스 등 지역특성을 반영해 20대 산업거점을 조성한다.
20대 산업거점 지역은 종로-광화문 국제관광거점, 불광 혁신파크 창조경제·사회혁신메카, 가산·대림 디지털단지, T-P(테헤란-포이)밸리, 창동-상계 스마트기술기반 첨단산업지구, 개포 모바일 융복합공간 등이다.
이미 조성된 상암 DMC 단지는 글로벌 미디어·엔터테인먼트와 IT 클러스터, G밸리는 IT 소프트웨어 융합 본산지, 마곡지구는 첨단 R&D 융합거점, 홍릉연구단지는 연구개발(R&D) 클러스터로 확산한다.
또 개포외국인학교 부지를 2016년까지 모바일융복합공간으로 조성하는 등 문화·지식기반형 창조산업을 발굴하고 동대문 DDP를 중심으로 대학로, 남산애니메이션센터 등을 연계해 창조산업 핵심거점인 'D-밸리'도 육성키로 했다.
서울형 창조산업은 공연예술·출판·영상·게임 등 문화예술형, 정보서비스·디자인·연구개발 등 지식서비스형, 패션·수제화·전통공예·귀금속 등 장인형 창조산업을 중심으로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또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해 현재 1인당 지역총생산액(GRDP) 중 0.5%인 사회적경제 비중을 2030년까지 7%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협동조합과 사회적기업 등 사회적경제 주체 1만7600개를 육성한다.
서울시는 서울형 창조경제모델 구축을 위해 2016년까지 연평균 1조 1,000억원, 총 3조 3,000억원을, 2030년까지는 대략 총 19조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새 모델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성과를 공유해 함께 잘사는 서울경제를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