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문지훈 기자 = 최근 은행 직원의 불법행위 등 각종 비리사건이 은행권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는 데에는 주요 시중은행의 검사·감찰 인력이 영업점 및 직원수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현실이 한몫했다는 지적이다.
9일 금융감독원 및 은행권에 따르면 하나은행의 경우 본점을 비롯해 영업점을 감독하는 검사부 인력은 총 56명이며, 직원들의 비위사실을 점검하는 감찰 인원은 총 4명이다. 검사부 소속 직원들은 통상 영업점을 방문해 업무 규정 준수여부 등을 모니터링한다.
이에 비해 하나은행의 지난해 말 기준 임직원수는 총 9058명, 총 지점수 636개로 60명이 이들 지점 및 임직원에 대한 검사 및 감찰을 맡고 있는 것이다. 1인당 10여개의 지점을 관리하는 셈이다.
우리은행의 경우 본점을 비롯해 영업점 감사를 담당하는 인력은 70여명이다. 이 중 60여명은 영업점 감사를 담당하며 기타 인력은 본점 감사업무를 맡고 있다.
우리은행의 임직원수 및 지점수는 각각 1만5075명, 1012개로 감사 담당 인력 70여명이 14개 안팎의 지점에 대한 감사를 맡고 있는 것이다.
신한은행의 경우 450명의 감사역을 운영하고 있다. 이들은 영업점의 특수거래에 대한 모니터링 업무를 담당하며, 감사역 중 370~380명은 영업점 전담 감사역으로 전국 영업점을 방문해 거래전표 등을 검사한다.
국민은행은 영업점마다 감사 업무를 겸하는 직원을 1명씩 지정·운영하고 있으며 1인당 3~4개 영업점 감사를 실시하는 별도 인력을 운영하고 있다. 본점 내 감사부 소속 직원과 별도로 부서별 감사담당 직원도 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영업점을 비롯해 본점 부서별 감사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들이 있어 정확한 인원을 파악하기는 힘들다"고 말했다.
은행마다 감사인력 운영방식이 다르지만 비교적 많은 인력을 보유하고 있는 국민은행을 제외한 대다수 은행의 경우 영업점에 비해 감사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업계에서는 각 은행의 감사 인력 시스템이 다르지만 통상 감사역 1명이 지점 3~4개를 담당하는 수준이 적당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각 은행의 경영환경에 따라 다르겠지만 업무 강도 등을 고려할 때 1인당 지점 3~4개 규모로 감사를 담당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