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3월말 현재 국내은행의 원화대출채권 잔액은 1179조3000억원으로 전월말 대비 2조1000억원(0.2%) 증가했다.
대기업대출 잔액은 171조1000억원, 중기대출 잔액은 499조5000억원이다. 가계대출 잔액은 479조3000억원으로 3월 중 1조원 증가했다.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이상 원금 또는 이자 연체 기준)은 0.85%로 전월말(0.95%) 대비 0.10%포인트 하락했다. 전년 동월(1.00%)에 비해선 0.15%포인트 하락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1.02%로 전월말(1.12%) 대비 0.10%포인트 하락했다. 기업대출 중 대기업대출 연체율 0.76%로 전월말(0.98%) 대비 0.22%포인트 하락했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1.11%로 전월말(1.17%) 대비 0.06%포인트 하락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66%은 전월말(0.75%) 대비 0.09%포인트 하락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56%로 전월말(0.64%)대비 0.08%포인트 하락했으며,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0.86%로 전월말(0.99%) 대비 0.13%포인트 하락했다.
금감원은 "연체율이 계속 개선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소비 둔화, 중소기업대출의 신규연체 증가 등 부실채권 발생 가능성에 대비해 실질연체율, 연체전이율 등 연체율 선행지표를 통한 건전성 점검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금감원은 이달부터 국내은행 대출채권 연체율 산정기준을 변경했다. 그동안 이자가 연체될 경우 원금 전체를 연체로 보지 않고, 원금이 1일 이상 연체되는 시점부터 연체로 분류(1일 이상 원금기준)했다.
그러나 원금 또는 이자 중 어느 하나라도 연체되는 시점부터 원금전체를 연체로 분류(1개월이상 원리금기준)하기로 한 것이다.
이런 경우 지난해 평균 연체율의 경우 1일이상 원금 기준은 1.11%이지만, 1개월이상 원리금 기준으로 따지면 0.99%로 낮아진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