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44%, 통일비용 부담 질 생각 없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05-07 14:2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통일 인식, 청년·노년층 간 세대차이 뚜렷

​아주경제 강정숙 기자 =우리 국민 10명중 4명은 통일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질 뜻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말 실시한 조사 결과 '통일을 위해 추가비용을 부담할 의향이 있느냐. 있다면 1년에 얼마를 부담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44.3%는 '부담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이어 '5만원 미만'을 부담하겠다는 응답이 31.9%, '5만∼10만원'은 11.7%, '10만∼30만원'은 8.7%였고, '100만원 이상'을 부담하겠다는 응답자는 1.2%에 그쳤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대체로 통일이 필요하다고 여기면서도 시급성은 절박하게 느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가급적 빨리 통일을 해야 한다'는 응답은 25.8%, '통일은 해야 하나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응답은 45.8%를 차지했다. '굳이 통일할 필요가 없다'(18%)와 '통일에 관심이 없다'(10.2%)는 부정적인 답도 30% 가까이 됐다.

통일의 중요성 항목에서는 청년층과 노년층 간에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19∼29세에서는 '통일이 매우 중요하다'는 응답 비율이 28.5%에 그쳤으며, '별로 중요하지 않다'와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 응답도 각각 24.5%, 7.1%를 나타냈다.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통일이 매우 중요하다'는 응답 비율이 46.7%로 상대적으로 크게 높았고,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 답을 고른 이는 한 명도 없었다.

이밖에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들은 통일 추진에 가장 큰 장애물로는 북핵 문제(38.5%)를 꼽았다. 남남갈등(24,7%), 통일비용(23.3%), 주변 강대국의 입장(12.4%) 등을 장애요인으로 든 이들도 있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28일부터 12월16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1001명을 상대로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이 조사결과는 최근 공개된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가 제출한 통일부 정책연구용역 보고서에 실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