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는 친족의 범위를 사고현장에 상주하면서 사고수습과 피해가구의 실질적 보호자 역할 등으로 소득활동이 어려워 생계가 곤란한 가구로 한정했다.
지원 절차는 피해가구 요청시 선지원 후심사로 신속 지원할 방침인데, 지원은 생계비와 의료비 등 모두 9종류에 이른다.
김문환 무한돌봄센터장은 “피해자 대부분이 학생이라 걱정하고 위로하는 친인척들이 가세하면서, 생계 등이 염려되는 가구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지원범위를 확대한 것”이라며 “신청시 본인 거부 등으로 긴급생계비를신청하지 않은 가구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지원방안을 모색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와 안산시는 지난달 23일부터 세월호 사고로 생업활동이 어려운 총 227가구에, 긴급복지 생계비 2억 3천 7백만 원을 지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