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는 이번 연내 상장 추진에 대해 국내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해외사업 확대에 박차를 가해 글로벌 ICT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한 포석이라는 입장이다.
삼성SDS가 성장동력으로 정조준하고 있는 글로벌 ICT 솔루션 및 서비스 시장은 반도체 등 IT소재‧부품 시장 대비 4배, 스마트 기기 및 서버 등 IT 세트 시장에 비해서는 1.8배에 달하는 1조9000억 달러 규모의 차세대 시장으로 꼽힌다.
이미 지난해부터 국내 공공시장과 금융 IT 시장 철수를 선언하고 글로벌 사업 확대에 역량을 집중해왔던 삼성SDS는 상장을 기반으로 글로벌 사업구조로의 혁신을 꾀하고 신성장 영역에서 기술과 인력을 확보한다는 구상이다.
업계는 최근 페이스북과 트위터, 웨이보 등 경쟁 IT 기업들이 상장 추진을 통해 자금 확보 및 유연성 개선에 나서고 있는 점도 삼성SDS의 연내 상장 추진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SDS는 상장 이후에도 사외이사 선임과 감사위원회 설치 등을 통해 경영 투명성을 한층 더 강화하고 적극적인 IR 활동으로 대외 신인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삼성SDS 전동수 사장은 “이번 상장을 계기로 글로벌 ICT서비스 선도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며 “특히 클라우드,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신성장 기술을 확보해 통신, 헬스케어, 리테일 및 호스피탈리티 등 분야의 솔루션 및 서비스를 중심으로 해외사업을 적극 전개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삼성SDS의 연내 상장 추진은 그동안 소액주주들이 지속적으로 상장을 요구해 왔다는 점에서 큰 잡음없이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투자금 역시 상당 부분 회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