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공정거래위원회]
당시 사전 공구를 배분하고 들러리 담합을 한 현대건설·현대엠코·삼성물산·한라·GS건설·동아건설산업·동부건설·남양건설·현대산업개발·금광기업·SK건설·대우건설·대림산업 등 13개사는 시정명령과 11개사에 대해 과징금 총 991억원이 처분된 바 있다.
또 9개 법인과 공구 배분에 가담한 대형건설사 6개사의 전·현직 고위임원 5명은 검찰 고발된 상태다.
공정위 측은 “대형 건설사들의 나눠먹기식 입찰담합의 실체를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사건 처리 이후 건설시장에서 자진신고가 급증하는 등 그동안 콘크리트처럼 유지됐던 건설사들의 카르텔이 붕괴되고 있어 향후 건설입찰 시장의 경쟁을 활성화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고 평가된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