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서울시의 '통계로 본 서울남녀의 결혼과 출산' 자료를 보면 지난해 서울 여성의 평균 출산 연령은 32.5세, 첫째아이 평균 출산 연령은 31.5세로 파악됐다.
20년 전인 1993년 서울 여성의 평균 출산 연령은 28세, 첫째아이 평균 출산 연령은 26.8세이던 것에 비해 5년쯤 늦어진 수치다.
지난해 산모 연령별 출생아 구성비는 30∼34세(53.6%), 35∼39세(20.6%), 25∼29세(19.6%), 20∼24세(2.9%) 순으로 나타나 처음으로 35∼39세가 25∼29세를 추월했다. 또 30대 산모가 전체의 74.2%를 차지했다.
출생아 아버지의 연령도 높아졌다. 지난해 출생아 아버지의 주요 연령 분포는 30∼34세(44.1%), 35∼39세(33.8%), 40∼44세(9.9%), 25∼29세(8.4%), 20∼24세(0.8%) 순으로 나타나 처음으로 40∼44세가 25∼29세를 추월했다.
평균 초혼 연령은 여성이 30.4세로 20년 전(25.7세)보다 4.7세 높아졌으며 남성은 같은 기간 28.5세에서 32.6세로 높아졌다.
25∼29세 여성의 미혼율도 1990년 29.4%에서 2010년 80.2%로, 남성은 61.9%에서 90.7%로 상승했다.
한편 지난해 서울의 총 출생아 수는 8만4000명으로 통계 작성을 시작한 1981년 이래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20년 전인 1993년(17만6000명)보다 절반 이하로 떨어진 수치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2033년부터 조사망률(인구 1000명당 사망자 수)이 조출생률(1000명당 출생아 수)을 초과해 출생아보다 사망자가 많아지는 마이너스 자연 증가가 시작될 것으로 전망된다.
핵심노동인구(25∼54세) 역시 지난해 528만7000 명에서 2033년 406만7000 명으로 100만 명 이상 줄 것으로 예상됐다.
저출산율에 관한 서울시민들의 인식은 약간 심각하다(36%), 매우 심각하다(11%) 등 절반가량만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며, 전혀 심각하지 않다는 대답도 2.3%나 나왔다.
특히 20대 여성은 41.6%가 출산율의 심각성을 걱정한 반면 50대 여성은 이보다 9.6% 포인트 높은 51.2%가 현재 출산율에 우려를 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