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09/23/20140923081250492938.jpg)
가을에는 우리 몸이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탓에 면역력이 약해져 까닭 없이 우울하고 피로할 수 있다. 특히 기온이 내려가는 시기에는 혈액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만성피로를 호소하게 된다.
일조량이 줄어드는 것도 피로를 증폭시킬 수 있다. 가을이 되면 여름에 비해 일조시간이 점점 부족해지면서 우리 몸에는 에너지 부족, 활동량 저하, 과수면 증상 등 생화학적 반응이 일어난다.
계절성 우울증은 일반적인 우울증과는 달리 식욕이 왕성해지고 잠이 부쩍 늘어난다. 남성 우울증은 공격적이고 폭력적인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다. 특히 가을이 되면서 일조량이 줄면 세로토닌의 분비가 적어져 좀처럼 잠들지 못하고 감정 조절도 어려워진다.
이에 네티즌들은 "가을우울증 예방법, 진짜 가을만 되면 기분이 다운된다", "가을우울증 예방법, 조심해야겠네", "가을우울증 예방법, 잘 먹고 잘 자는 게 최고다" 등의 반응을 보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