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이화여대 생명과학과 권종범 교수 연구팀이 암억제단백질(BAP1)이 크로마틴 조절에 관여함으로써 유전체의 안정성을 돕는다는 것을 알아냈다고 6일 밝혔다.
크로마틴은 진핵세포의 핵 속에 존재하는 유전체 구조로 DNA와 히스톤 단백질이 고도로 응축된 구조를 말한다.
대표적인 크로마틴 조절단백질(INO80)과 직접 결합, 이 단백질의 분해를 막고 복제분기점으로 유도해 복제가 안정적으로 이뤄지도록 돕는다는 것이다.
또 흉막중피종 환자의 종양조직에서 이 두 단백질 모두 농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암발생 억제기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BAP1의 세포 내 기능과 작용기전을 이해하고 그 조절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면 항암제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BAP1의 DNA 복제 및 유전체안정성 기능을 규명하고 이 기능의 결손이 흉막중피종 발생의 원인 중 하나로 제시한 이번 연구결과는 단기적으로 흉막중피종 치료제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장기적으로는 더 많은 종류의 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지식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BAP1-INO80 경로를 조절할 수 있는 약물개발은 5~10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된다. 실용화를 위해 암세포에서 BAP1-INO80 경로를 상세히 규명하고 이를 조절하는 저분자 물질을 발굴할 수 있는 기술 구축이 우선돼야 하기 때문이다.
권 교수는 "BAP1과 INO80에 의한 암억제기전이 다른 암 종에서도 작용하는 일반적인 경로인지를 조사하고 생쥐를 이용해 본 가설을 구체화하기 위한 후속연구를 수행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연구팀은 미래부가 추진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핵심)과 보건복지부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미래도전연구)의 지원을 받아 이러한 연구 성과를 냈다. 이번 연구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Nature communications)지 온라인판 10월 6일자에 게재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