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컨설팅 업체인 맥킨지가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에 편입됐던 기업의 평균 수명을 분석한 결과 1930년대 S&P지수 편입기업은 약 65년간 지수에 머물렀으나 2000년 이후에는 평균 10년으로 크게 축소됐다.
또 포브스가 2011년 조사한 결과도 글로벌 100대 기업의 평균 수명은 약 30년이며, 이들 기업이 70년간 존립할 확률은 겨우 18%에 그쳤다.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국내 중소기업의 평균수명은 12년, 대기업은 30년에 불과하다.
기업이 장수하려면 뼈를 깎는 구조조정과 이를 통한 체질개선이 반복돼야 한다는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금융당국은 빚이 많은 주채무계열 중 구조조정 등 자구노력이 시급한 기업을 추려 재무구조개선약정을 체결하고 있다.
재무구조개선약정을 체결한 기업들은 자산매각을 통한 유동성 확보에 사활을 건다. 하지만 자산매각 보다는 기업 회생을 위한 토대 마련이 우선돼야 한다는 지적이 크다.
특히 매각이 쉬운 알짜부문까지 내다 팔 경우 재무구조 악순환이 거듭되고, 사업을 다시 성장시키는데는 오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채권단은 채권 회수라는 단편적 논리에 사로잡혀 기업을 옥죄는데만 몰두하지 말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기업을 살펴보고 장수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기 위해 업계와 함께 고민해야 할 때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