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정우 기자=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29일(현지시간) 150억 달러 남은 월 자산매입금액 양적완화 프로그램의 종료를 선언했다. 또 기준금리를 제로 수준(0∼0.25%)으로 운용하는 초저금리 기조를 '상당 기간' 이어가기로 했다.
연준은 28일부터 이틀간 금융·통화 정책을 결정하는 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앞서 연준은 지난해 12월 FOMC 회의에서 월 850억 달러였던 3차 양적완화(QE3) 규모를 100억 달러 줄이는 테이퍼링에 처음으로 착수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도 앞선 여섯 차례 회의에서 채권 매입액을 매번 100억 달러씩 줄였다.
연준이 양적완화 종료를 선언한 이유는 미국의 경제회복에 대한 자신감이 깔려 있다. 연준은 “미국의 최근 경제활동은 '완만한(moderate)' 속도로 확장하고 있다”며 “노동시장 상황도 약간 개선됐고 노동 자원이 충분히 활용되지 못한다는 지적도 점차 감소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연준은 기준금리 선제적 안내(포워드가이던스) 표현에는 손을 대지 않았다. 연준은 이날 회의 직후 낸 성명을 통해 "여러 요인을 평가할 때 현 추세로라면 채권 매입 프로그램을 끝내고서도 상당 기간 초저금리 기조를 이어가는 게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연준은 대신 "향후 각종 경제 지표에 근거해 인상 시점과 속도를 결정하겠다"며 "지표가 연준이 현재 예상하는 고용 및 인플레이션 목표에 더 빨리 접근한다면 금리 인상 또한 현행 예측보다 빨라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이번 회의에서 연준이 지난 3월부터 다섯 차례 FOMC 회의에서 줄곧 써온 '상당 기간'이라는 표현을 삭제하거나 다른 선제안내(포워드가이던스)를 제시한다면 조기 기준금리 인상 단행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해석해왔다.
시장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세계 경제가 저성장 기조를 보이고 있고 미국의 각종 물가상승률이 연준 목표치(2%)를 밑돌면서 연준이 금리 인상 시기를 오히려 '내년 하반기'나 '2016년 초'로 늦출 것이라는 관측도 확산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