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상공회의소가 지난 13일 한.중 FTA 협상 타결과 관련해 창원의 對중 수출입현황과 향후 영향을 분석했다.
중국은 창원산업의 최대 수출국이자 수입국이다. 2014년 9월까지 누적실적 기준으로 창원 총 수출의 22.5%, 수입의 22.0%를 차지하고 있다. 1년 단위 기준으로 창원의 對중 교역규모는 60억 불 정도다.
창원의 對중 주요 수출품은 자동차 부품, 선박엔진, 통신장비 부분품, 굴삭기, 머시닝센터, 금속가공기계, 냉장.냉동실비용 압축기 등이다.
2013년 수출입 실적 기준, 기초산업기계는 0.74, 산업기계 0.82, 기타기계류 0.85로 높은 특화를 보이고 있다. 즉, 창원의 기계 산업이 중국에 비교우위에 있다는 것이다.
산업 내 무역지수로 분석해 보더라도 창원 기계 산업의 對중 교역이 수직적 수출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품가격지수로 보았을 때는 저위품질의 수직적 수출구조가 주를 이루었다.
양적인 면에서는 높은 수출특화를 보이지만 질적인 면에서는 고부가가치 기계류의 수출은 미진했다는 이야기다. 하지만 일반 기계 산업에 대한 중국의 평균 관세율이 8.1%로 한국 평균 관세율 6.6% 보다 높아 한.중 FTA가 발효되어 기계 산업의 관세가 동시에 철폐된다면 앞으로 중국의 고부가가치 기계류 시장의 확보도 용이해 질 것이라 전망된다.
하지만 기계요소 및 금형산업은 산업 내 무역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 내 무역지수가 높다는 것은 동종 제품 간 대체성이 높아 투입요소나 기능이 유사한 제품들끼리 상호무역이 활발히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창원의 기계요소 및 금형산업은 중국과 낮은 수준이지만 비교우위에 있다. 하지만 산업의 특성상 진입장벽이 비교적 낮고 대체성이 뛰어나 국내 시장으로 중국의 저가제품이 대거 유입된다면 한.중 FTA 발효 이후에는 관련 품목의 국내경쟁이 더욱 치열해 질 것으로 보인다.
이는 곧 한.중 FTA 발효가 완성품 또는 반제품을 생산.수출하는 기업에는 유리하나 기초부품을 공급하는 기업에는 불리한 측면으로 작용할 소지가 있다는 말이다.
창원상공회의소 관계자는 "한.중 FTA가 발효되면 단계적 관세철폐로 완성품 및 반제품 기계업종의 對중 수출 가격경쟁력이 한층 높아지는 만큼, 이를 활용해 고부가가치 기계류시장 확보에 주력해야 한다"고 말하며 "한편으로는 향후 국내시장에서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이는 기초부품 산업에 대해서는 지역 내 산업간 공조 분위기 조성, 중국시장 정보 제공, 재정투자 등 지자체 및 기업지원기관의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창원의 對중 주력 수출품 중 굴삭기, 기어박스, 선박엔진 등이 양허관세에서 제외된 것은 못내 아쉬운 부분이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