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강연회는 최근 일본정부가 위안부 강제 연행 사실을 부인하고, 독도를 국제 분쟁화 하려는 의도를 더욱 노골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가운데 국제법적 시각에서 독도문제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가져보자는 취지에서 마련됐다.
이날 특강에 나선 이용호 교수는 ‘섬으로서의 독도의 법적 지위, 역사적 근원, 실효적 지배, 전후의 각종문서를 통한 한일 양국의 주장과 국제재판의 판결, 독도와의 관계, 독도 문제의 해결에 관한 양국의 입장, ICJ에 의한 해결의 불공정성과 이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방안' 등에 대해 상세히 설명했다.
이 교수는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은 하나같이 근거가 부족하고 받아들일 수 없는 일방적인 주장이지만 일본은 정부적 차원에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분쟁지역화 하고 있다”며, “독도의 운명은 미래의 리더인 대학생들의 관심과 역량에 달렸다. 일본에 대한 맹목적인 분노가 애국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므로 논리적이고 이성적인 대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경북도에서는 주한외국인, 해외 한국인, 외국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정책으로 독도를 세계인들에게 알리고, 지역대학과 학생회 등의 협조를 통해 청년 독도 특강 및 독도 전시회 등 독도 올바로 알리기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