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국제 학술 대회는 국립한글박물관의 개관을 기념해 국외에 흩어져 있는 한글 자료 현황을 파악하고 새로운 과제 발굴을 통해 한글 연구의 지평을 확장하고자 마련됐다.
1부에서는 국립한글박물관 개관위원회 위원장인 홍윤표 교수가 ‘한글에 대한 연구 과제’라는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2부에서는 중국과 일본에서 온 세 명의 학자가 ‘문자․자료로서의 한글’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할 예정이다.
일본 도야마대의 후지모토 유키오(藤本 幸夫) 명예교수는 일본 전역에 흩어져 있는 한국학 문헌 자료의 현황을 파악하고 정리하는 데 평생을 바친 한국학 연구의 권위자이다. 이번 발표에서는 ‘천자문’을 중심으로 조선 시대의 한글의 지방 보급에 대해 살펴본다.
중국 연변대의 김광수교수는 북한과 중국 자료를 중심으로 한글 자료의 수집과 보존 방안에 대해 발표한다. 특히 이 발표에서는 최근 북한의 한글 자료 현황과 보존․관리 방식 등이 소개될 예정이어서 주목된다.
국외 학자들의 발표가 끝난 뒤에는 한재영 교수(한신대)의 주재로, 박형익 교수(경기대), 장향실 교수(상지대), 이호권 교수(한국방송통신대) 등이 참여하는 종합 토론의 시간이 마련되어 있다.
국립한글박물관에서는 "이번 국제 학술 대회를 시작으로, 동아시아 주변국을 비롯해 유럽이나 미국, 중앙아시아 등 국외에 산재해 있는 한글 자료를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수집․보존, 한글문화유산이 공공의 자원이 되도록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