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리뷰] 영화와 현실을 혼동시키다…‘클라우즈 오브 실스마리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4-12-05 09:00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영화 '클라우즈 오브 실스마리아']

아주경제 권혁기 기자 = 스위스 알프스 산맥에 작은 마을 실스마리아가 있다.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가 머물며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를 집필한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시시때때로 호수에서 태어난 안개가 깔리고, 여명이 지나면 이 세상 모든 구름이 모이듯 마을을 휘몰아 친다. 뱀이 지나가는 것 같다고 해 ‘말로야 스네이크’라고 불린다. 위대한 풍광이 철학자에게 영감을 준 것인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최소한, 이제는 중견배우가 된 마리아 엔더스(줄리엣 비노쉬)를 스타덤에 올린 연극 ‘말로야 스네이크’가 탄생한 곳이다. ‘말로야 스네이크’를 집필하고 연출한 감독은 이제 없지만 마리아 엔더스의 가슴 속에, 20년만에 리메이크되는 연극 ‘말로야 스네이크’에는 남아 있다.

영화 ‘클라우즈 오브 실스마리아’(감독 올리비에 아사야스)의 배경은 실스마리아다. 연극 ‘말리아 스네이크’에서 연상의 상사 헬레나를 유혹해 자살로 몰고 가는 젊고 매력적인 캐릭터 시그리드를 연기했던 마리아는 자신의 은인과 같은 감독이 받기 위한 상을 대리수상하기 위해 스위스를 찾았다. 자신은 상을 받을 자격이 없다며 “꼭 빈손으로 실스마리아로 오길 바란다”는 감독의 청에 스위스를 방문한 마리아는 그곳에서 감독의 자살 소식을 듣는다. 이혼 소송으로 가뜩이나 골치가 아팠던 마리아는 소식을 접하고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마음을 꾹 참는다.
 

[사진=영화 '클라우즈 오브 실스마리아' 스틸컷]

시상식 후 이어진 만찬 자리에서 ‘말리아 스네이크’ 리메이크작을 연출하게 된 감독클라우스(라스 에이딘거)를 만난 마리아는 시그리드가 아닌 헬레나 역을 맡아달라는 부탁에 거절하려고 하지만 매니저 발렌틴(크리스틴 스튜어트)의 적절한 조언으로 수락한다. 젊은 시절 자신이 연기한 시그리드는 할리우드의 라이징스타 조앤(클로이 모레츠)이 내정됐다.

마리아가 ‘말리아 스네이크’로 주목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그 자신의 연기도 있겠지만, 헬레나와 시그리드의 대립각도 한 몫했다. 동성의 늙은 상사 헬레나를 유혹해 파멸로 이끄는 어린 시그리드는 팜므파탈의 매력적인 캐릭터고, 헬레나는 젊음을 이기지 못하는 배역이기 때문이다.

연기에 몰입한 나머지 헬레나 역의 늙은 여배우는 시그리드에게 마음을 빼앗겨 그를 돋보이게만 하는 역할이 될 수밖에 없었다. 마리아가 헬레나 역을 거절하고 싶어 했던 마음은 이미 그가 20년전에 헬레나의 마음을 읽었기 때문이다.

줄리엣 비노쉬는 그런 마리아의 심경을 정확하게 표현했다. 인터넷을 멀리하지만, 자신이 맡았던 시그리드에 캐스팅된 조앤의 사진을 찾아보며 젊은 시절 그녀가 받았던 스포트라이트와 관심에 질투를 느낀다. 발렌틴은 매니저인 자신의 의견에 사사건건 딴지를 걸고, 필요 없는 감정소비에 버거움을 느낀다. 화려했던 전성기에 대한 추억이 큰 만큼 시그리드로 남고 싶어하는 마리아를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니지만, 현실을 직시하길 바라는 충언을 받아들일 수 없는 마리아를 떠나고 싶어한다. 마리아는 발렌틴이 남아주길 바란다.

십 수년 전 자신에게 작업을 걸었던 상대 배우(한스 지슬러)가 술을 한잔 더 하자고 하자, 됐다면서도 자신의 호텔 룸넘버를 알려줄 만큼 자존심도 쎄다. 스위스에서 만난 사진작가와 즐거운 한때를 보내는 발렌틴에 대한 부러움 때문에 방번호를 알려줬을 수도 있다.
 

[사진=영화 '클라우즈 오브 실스마리아' 스틸컷]

줄리엣 비노쉬는 메소드 연기로 캐릭터 마리아를 작품 속에서 살아 숨쉬게 했다. 2부 격인 ‘챕터 2’에서 줄리엣 비노쉬는 일부러 살을 찌운 듯한 모습이다. 짧게 자른 머리는 동성애자인 마리아를 표현하기에 충분했다. ‘세가지 색: 블루’로 베니스 영화제 여우주연상, ‘잉글리쉬 페이션트’로 베를린, 미국 아카데미 영화제 여우조연상, ‘사랑을 카피하다’로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차지하며 여배우 최초로 유럽권 3대 영화제, 아카데미 트로피까지 거머쥔 만큼 줄리엣 비노쉬의 연기는 완벽했다.

크리스틴 스튜어트 역시 발렌틴으로 완벽하게 분했다. 재미있는 사실은 과거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의 감독 루퍼트 샌더스와 염문설을 뿌렸던 그녀가 줄리엣 비노쉬와 나눈 대화다. 두 사람은 극중 여배우와 감독과의 ‘어떤 교감’에 대한 대화를 나누는데, 크리스틴 스튜어트의 염문설과 오버랩되며 영화 외적인 재미를 준다.

제2의 다코타 패닝이라 불리는 클로이 그레이스 모레츠는 분량은 적지만, 줄리엣 비노쉬, 크리스틴 스튜어트와 함께 영화의 한 축을 담당했다. 어린 나이에도 불구하고 줄리엣 비노쉬에게 전혀 밀리지 않는 연기로 관객들에게 눈도장을 찍을 전망이다.

실스마리아의 황홀한 풍경, 세 여배우의 완벽한 내면연기, 올리비에 아사야스 감독의 연출력, 삼박자가 맞아 떨어진 수작 ‘클라우즈 오브 실스마리아’는 오는 18일 15세 관람가로 개봉한다. 러닝타임은 124분.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