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는 22일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2015년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며 이같은 소비자물가 전망치를 내놨다.
정부는 내년도 물가 여건에 대해 내수가 점차 개선되면서 수요측면에서의 하락압력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공급 측면에서 국제유가는 하락요인으로 작용하겠으나 농산물가격 상승 가능성 등이 공급측 하락요인도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내년 1월 1일로 예정된 담뱃값인상으로 물가상승률이 0.6%포인트 상승하는 점을 들어 25개월째 1%대 상승률에 그친 저물가를 반전시킬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개인서비스 부문에선 경기 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 농축산물 가격 상승 가능성 등으로 외식 서비스 중심으로 상승폭이 확대되고 관광·여행 등도 내수 개선에 따른 관련 수요 증가 등으로 상승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공업제품은 국제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인해 석유류 둥을 중심으로 안정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했다.
공공요금은 국제유가·환율 안정 등으로 인상 요인이 크지 않아 전반적으로 안정 기조가 지속되지만 그간 인상이 억제된 일부 요금을 중심으로 상승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관측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경기회복·기저효과 등으로 개인서비스, 농산물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확대되겠으나 국제 원자재 가격 안정 등은 하락요인"이라며 "담뱃값 인상효과로 물가상승률이 0.6%포인트 확대되는 등 내년도 소비자물가는 연간 2.0% 상승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