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4/12/22/20141222112121305908.jpg)
[사진=애기동지, 동지팥죽]
동지는 1년 중 밤이 가장 길고 낮이 가장 짧은 날로, 이날을 기점으로 낮이 다시 길어지기 시작해 사실상 새해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다.
동짓날 우리나라에서는 동지팥죽을 먹는 세시풍속이 있다. 이날 동지팥죽을 쑤어먹지 않으면 쉽게 늙고 잔병이 생기며 잡귀가 성행한다는 속설도 있다. 또 동짓날 날씨가 온화하면 이듬해에 질병이 많아 사람이 많이 죽고, 눈이 많이 오고 날씨가 추우면 풍년이 들 징조라고 여겼다.
팥죽을 먹으면 잡귀가 물러간다는 속설은 팥의 붉은색이 양색이므로 음귀를 쫓는 데 효과가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14년 동지는 일반적인 동지가 아니라 '애기동지'다. '애동지'라고도 불린다.
애기동지는 동짓달 초순에 든 동지를 일컫는 말로, 동지는 양력 12월 21일 또는 22일로 그 날짜가 고정되어 있지만 음력 날짜는 유동적이다. 동지는 보통 음력 동짓달에 드는데, 음력으로 동지가 동짓달 초순에 들면(음력 초하루와 동지가 겹치면) 애기동지라 한다.
애기동지 때 아기가 있는 집에서는 동지팥죽을 해먹지 않고 떡을 해먹는 풍속이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