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위 수치를 합하면 여성 절반 이상이 서른 전후에 결혼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는 셈이다.
작년 6월 통계청이 발표한 ‘2014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에 따르면 2013년 한국 여성 평균 초혼 연령은 29.6세였다. 이번 조사를 통해 여성들이 대체로 자신이 적정하다고 여기는 연령대에 결혼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1/12/20150112145044643762.jpg)
이어 ‘27~28세’(19.3%), ‘33~34세’(13.5%), ‘35~36세’(5.7%), ‘25~26세’(3.8%), ‘39세 이상’(2.3%) 순으로 응답을 보여 20대 초·중반을 결혼 적정 나이로 보는 여성들은 극히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30대의 63%가 ‘서른 살 넘어서 결혼하는 것이 좋다’라고 응답한 것에 비해 20대는 39.2%에 그쳤다.
그렇다면 여성들이 결혼을 늦추려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자신만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가 정확히 50%를 기록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결혼 비용 마련 시간 필요’(19.9%), ‘커리어 문제’(10.9%), ‘안정적이지 못한 직업’(10.8%), 기타(8.6%) 순이었다.
특히 ‘자신만의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20대(45%), 30대(50%), 40대(58%) 순으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많았다.
반면 ‘커리어와 경제부담’에 관해서는 20대가 48.7%로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38.7%), 40대(35.2%) 순으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적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