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세미나에서는 중국과 일본 및 아세안 현지 시장 이해도가 높은 거산재팬 이순배 대표, 주 태국 상공회의소 이만재 회장 등 현지 무역상사 대표 9명이 직접 연사로 나섰다.
생생한 현지 시장 상황을 전달하고, 각 지역 진출에 특히 관심 있는 33개 기업에 대해 1:1 컨설팅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연사로 나선 오윤아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동남아대양주 팀장은 올해 동남아 경제 성장률은 지난해 보다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각 지역 연사들은 공통적으로 현지 유통시장의 철저한 이해 및 한국 제품 선호도 상승을 기회로 삼아 온·오프 라인의 다양한 방식으로 시장을 공략할 것을 조언했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오프라인 숍보다 온라인 숍의 성장이 폭발적이므로 SNS 마케팅 등을 통한 온라인 시장 진출 대비 전략이 강조됐다. 본격적인 비즈니스 시작까지 장기간이 소요되는 말레이시아의 경우 소량거래로 비즈니스를 시작하되 한국 기업의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거래 제안 등이 유효한 전략으로 제시됐다.
세미나와 병행해 진행된 1대 1 컨설팅 세션에서는 현지 유통망, 에이전트 발굴, 홈쇼핑 등 온라인 시장 공략방법, 인허가 및 통관 애로사항 등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문답이 다양하게 이뤄졌다.
장호근 무역협회 해외마케팅지원 본부장은 “아시아 시장은 한류로 인한 한국 브랜드 선호, 중산층 인구 확대 등으로 실제 시장진출 기회가 무궁무진하다”며 “우리 수출 기업들의 아시아 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현지 마케팅 사업 및 정보제공 기회를 계속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