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당국자는 3일 기자들과 만나 "지금 상황이 추가적이고 적극적인 것들(제안들)이 필요한 지는 의문"이라며 "이런 것들보다 북한이 무리하고 합리적이지 않은 일방적인 주장이나 요구를 철회하고 회담에 나오는 게 순서"라고 밝혔다.
북한에 형식에 구애받지 않는 회담을 갖자고 여러 차례 촉구하고 북한이 관심있는 사안도 논의할 수 있다고 밝힌 만큼 이제는 북한이 호응해 올 차례라는 것이다.
북한은 최근 대북 전단살포 금지와 한미연합훈련 중단, 5·24조치 해제 등을 대화 개최를 위한 전제 조건으로 제시하며 우리 정부의 태도 변화 없이는 대화에 나서지 않겠다는 자세를 보이고 있다.
이 당국자는 이런 북한의 요구에 대해 "사전에 이를 받아들여 회담을 열 생각은 전혀 없다"고 일축한 뒤 "진정으로 대화할 의사가 있다면 대화에 나오지 않는다는 것은 온당하지 않은 태도"라고 북측 태도를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는 "대화 개최가 목적이라면 대화나 접촉, 협의를 성사시키기 위해 뭔가를 더 해야겠지만 (우리의 목적은) 작든 크든 문제를 대화를 통해서 해결하고, 신뢰를 쌓아서 이를 토대로 더 크고 중요한 문제를 풀면서 남북관계를 발전시켜 나가고, 궁극적인 목표인 통일에 다가가는 과정에 진입하자는 취지"라고 강조했다.
정부도 설 계기 이산가족 상봉이나 광복 70주년 기념 남북공동행사 등이 성사되기 위해 '언제까지 북한은 대화에 응해야 한다'는 식의 시한을 따로 설정하지는 않을 방침이다.
시한 설정이 "북한에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도 있고, 자칫 우리를 제약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도 있기 때문"이라는 이유다.
이 당국자는 3월 초에 한미합동군사훈련인 키리졸브가 예정돼 있어 그 전에 대화가 이뤄져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군사훈련 기간에도 협력사업을 한 적도 많고 회담도 했으며 이산가족 상봉행사도 이뤄졌다"면서 이를 의식해 대화를 서두를 생각은 없음을 거듭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