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대해 민간 전문가들은 너무 낙관적이라고 우려했다.
11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지난 9일 발표한 지난해 12월 기준 경기선행지수(CLI) 동향 보고서에서 한국의 CLI를 101.9로 1개월 전보다 0.4% 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CLI는 6개월 뒤 경기흐름을 예측하는 지표로, 100을 넘으면 경기 확장을 의미한다. OECD는 재고순환지표, 주가지수, 장단기 금리차, 제조업경기전망 등의 지표를 근거로 각국의 CLI를 산출한다.
한국의 CLI는 지난해 8월 100.5에서 9월 100.8, 10월 101.1, 11월 101.5, 12월 101.9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한국의 전월 대비 CLI 변동 폭(0.4% 포인트)은 34개 회원국 중 멕시코(0.44% 포인트) 다음으로 높다.
지난해 12월 한국의 CLI(101.9)는 에스토니아(105.0), 슬로베니아(102.9), 그리스(102.8), 스페인(102.6), 스웨덴(102.4)에 이어 34개 국가 중 6번째로 높다.
통상 CLI와 관련해서는 원지수보다 전월 대비 변동 폭이 앞으로 경기와 관련한 판단 근거로 활용된다.
개발도상국은 경제 발전 단계상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CLI도 100을 훌쩍 뛰어넘게 마련이지만, 이처럼 CLI가 떨어지면 앞으로 성장세가 둔화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평가받는다.
OECD는 한국의 경기 전망을 밝게 보는 이유에 대해서는 보고서에 따로 적시하지 않았다.
OECD의 이런 전망에 대해 정부는 확장적 재정정책의 효과가 나타나고 저유가가 시차를 두고 소비 회복으로 연결되면 올해 상반기의 회복세가 강해질 것으로 기대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민간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OECD의 이런 지표가 한국의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전문가들은 OECD가 정부와 한국은행의 낙관적인 자료를 토대로 CLI를 집계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경기가 개선된다고 해도 회복세가 OECD의 예상치만큼 강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진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