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산에서 바라본 서울의 모습으로 중앙에 보이는 것이 명동성당이다. 명동성당 우측으로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건물이, 좌측으로 사제관이 보인다. 사진의 우측 상단으로 종묘와 창덕궁이 보이며 화살표로 표기된 곳이 백동수도원이다.]
1909년에서 1927년까지 동소문 일대에 있었던 백동수도원의 수도자들이 촬영하고 수집한 서울사진을 모은 책으로 사진자료 116점, 그림엽서 12점, 학술논고 3편이 수록되어 있다.
사진의 소장처인 성 베네딕도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은 독일의 뮌헨 인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1909년 동소문 일대에 백동수도원을 설립하였다. 베네딕도회 수도자들은 한국의 언어, 문화 예술에 관심을 가지고 많은 자료를 수집하였다.
서울역사박물관은 독일에 위치하고 있는 성 베네딕도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을 방문 백동수도원이 남긴 유물을 조사하였으며, 지난해 8월 <동소문별곡> 특별전을 통해 선교박물관에서 소장한 한국관련 유물 34점을 처음으로 공개한 바 있다.
서울역사박물관은 "상트 오틸리엔 수도원 소장 서울사진에는 처음으로 공개되거나 희소한 사진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으며 당시 서울의 모습을 이해하는데 좋은 자료"라고 소개했다.

[1902년 한성부(漢城府) 관아. ○ 지금의 서대문네거리에 해당하는 곳으로, 서쪽 방향으로 설치된 옛 경기감영의 정문 누각에 ‘한성부’라는 편액이 달려 있다. 1902년 4월 한성부는 이곳으로 옮겨왔으며, 그해 연말 평양진위대가 주둔했던 영문(營門, 서양식 2층 건물)이 들어서기 직전에 사진이 촬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