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3/02/20150302093419933797.jpg)
<2014년 인격·행동장애 연령별 진료인원> [자료=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갑작스런 공격성과 지나친 의심 등을 보이는 인격·행동장애 환자 2명 중 1명은 20·30대 젊은 층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들어 20대 남성 환자가 크게 늘었다.
2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성인 인격·행동장애로 치료를 받은 환자는 20대가 전체의 28.0%로 가장 많았고 30대 18.4%, 10대 17.3%가 그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남성 환자가 68.6%로 여성(31.4%)보다 2배 이상 높았다. 특히 20대 남성 진료인원은 5년 전에 비해 가장 많이 증가했으며, 전체 환자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점점 높아졌다.
인격·행동장애는 정신질환의 일종으로 지나친 의심, 공격성 등을 보이는 인격장애와 명백한 이성적 동기가 없이 도박이나 방화, 도벽 등을 하는 습관·충동장애, 성주체성 장애 등으로 나뉜다.
최근 5년간(2010~2014년) 건강보험·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보면 인격장애 환자가 42.8%, 습관·충동장애 환자가 42.0%로 인격·행동장애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특히 습관·충동장애 환자가 5년간 약 700명이 늘었으며 이들 대부분은 남성이었다.
심사평가원 상근심사위원은 “인격·행동장애는 환자가 몸이 아파 스스로 병원을 찾는 질환들과 달리 환자 스스로 진료를 결심하기가 어렵다”며 “따라서 주위의 적극적인 격려와 권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