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아주경제신문DB]
23일 통계청이 공개한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주당 1∼17시간을 일한 근로자 수는 지난해 117만7000명으로 역대 최고치다. 올해 1∼2월 초단시간 근로자 수도 120만8000명으로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간병인·아르바이트 등 단시간 근로자는 경제 위기 때마다 급증하는 등 큰 폭의 상승 경향이 두드려졌다.
특히 주당 15시간 미만 근로자는 4대 보험과 무기계약 전환 등 법적 보호로부터 벗어나 있었다.
지난 1997년 초단시간 근로자 현황을 보면 33만9000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2.4%에 불과했다. 하지만 외환위기 여파에 따라 1998년인 1년 새 38.6%가 증가하는 등 47만명으로 늘었다. 1999년의 경우도 21.7%를 차지하는 등 57만2000명으로 급증한 수준이다.
이후 증가세가 주춤했으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09년 또 다시 13.3%를 기록, 96만3000명이 증가했다.
기업들은 임시직과 일용직 등 비정규직 채용을 늘리면서 2010년 초단시간 근로자가 첫 100만명을 넘어선 상태다. 2010년과 2011년 증가율에서도 각각 9.7%, 10.6%를 기록하고 있다.
2011년에는 110만1000명으로 전년보다 5.7% 감소했지만 2013년 117만2000명(6.4%)이 늘었다. 작년의 경우는 0.4%로 5000명이 증가했다.
지난해 초단시간 근로자 중 여성은 74만2000명(63%)으로 남성(43만5000명)보다 많았다.
이 밖에도 지난해 주당 54시간(하루 평균 10시간)을 넘은 장시간 근로자는 582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8.0% 증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