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중소기업연구원은 '중소기업의 핀테크 활용방안 및 정책과제' 보고서를 통해 핀테크에 대한 논의가 지나치게 플랫폼을 제공하는 공급자 위주로 진행되고 있다 지적했다.
현재 핀테크는 전세계적인 금융혁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구글, 애플, 알리바바 등 세계 유수의 기업들이 다양한 핀테크 사업을 추진 중인 가운데 정부 역시 올해 핀테크 스타트업에 2000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핀테크 관련 논의는 송금/결제를 비롯한 은행권 업무나 관련 분야 창업에 국한돼 있는 실정이다. 그러다보니 핀테크 활성화를 위해 금융규제를 완화해야 한다는 시사점 도출에만 그치고 있다는 게 연구원 측의 분석이다.
중소기업 및 소상공인이 핀테크를 통해 결제(전자화폐), 해외송금, 환위험 헤징, 자금조달(대출‧자본), 매출채권 유동화 뿐 아니라, O2O, 해외 역직구 등 마케팅 측면까지 다양한 경쟁력 제고 방안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달 25일 열린 중소기업 창조경제확산위원회 회의에서 정유신 서강대학교 교수는 "핀테크는 전자상거래 규모를 키워 중소기업의 최대 경영애로인 내수침체를 일깨우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며 "다만 핀테크가 지불 결제 이슈에 그치고 금융기업이 주도해야 한다는 것은 오해"라고 말하기도 했다.
난관도 있다. 핀테크 활용에 대한 수요자들의 인지도가 낮고, NFC(근거리무선통신) 결제단말기 등 환경 구축을 위한 경제적 부담은 해결해야 할 과제로 꼽힌다.
이에 연구원은 공급자 측면의 접근과 더불어, 정책지원 시 수요자 측면에서의 효과적인 핀테크 활용방안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백강 책임연구원은 "핀테크 활용에 대해 공급자와 수요자 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통합 지식확산 채널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며 "중소기업·소상공인 등 핀테크 수요자가 인프라 구축을 위해 감내해야 하는 경제적 부담을 지원함으로써, 핀테크 활용도를 극대화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