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아람 기자 = 이란과 미국 등 주요 6개국이 2일(현지시간) 이란의 핵개발 활동 중지를 골자로 한 협상안에 최종합의했다.
이란과 주요 6개국(P5+1·유엔 안보리 5개 상임이사국과 독일)은 스위스 로잔에서 1차 협상 마감시한인 지난달 31일을 넘겨 이틀간 마라톤협상을 계속해왔다.
이날 도출된 협상안 ‘포괄적공동행동계획’(JCPOA)에 따르면 국제사회는 6월 30일 완성을 목표로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 지속적으로 협상을 이어갈 것이다. 이란에 대한 제재는 당분간 유지된다. 제재 해제에 앞서 이란이 합의안과 관련한 핵심 조치를 제대로 취했는지 유엔 산하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검증이 필요하다는 이유다.
페데리카 모게리니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는 이날 이란과의 공동성명을 통해 “이란이 15년간 포르도 핵시설에 어떠한 핵분열 물질도 반입하지 않기로 하는 등 주요 쟁점에 대한 절충안에 합의했다”며 “결정적 전기가 마련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국제 합작회사가 이란의 아라크 중수로 발전소를 설계변경하는 것을 지원하게 되며 앞으로 미국 등 주요 6개국과 이란의 핵 관련 협상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보증을 받게 된다”고 설명했다.
민감한 쟁점 중 하나 였던 원심분리기에 대해 이란은 1만9000개를 감축하고 1세대 형 초기 모델인 6104개만 남기기로 합의했다. 이 가운데 5060기는 나탄즈에서 10년간 상업용(핵연료봉 제조용) 생산에 쓰이고 나머지 1044기는 포르도 지하 핵시설에서 연구용으로 사용된다.
이란의 원심분리기 감축으로 ‘브레이크아웃 타임’(핵무기 제조를 결심한 시점부터 핵물질을 확보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늘어나 미국이 소기의 목표를 달성했다는 평도 나오고 있다.
이란은 또 향후 15년간 저농축 우라늄(LEU) 재고를 현재의 1만㎏에서 300㎏의 3.67% LEU로 감축하고 3.67% 이상의 LEU를 생산하지 않는 것은 물론 우라늄 농축 목적의 신규 시설도 더는 건설하지 않기로 했다.
특히 무기급 플루토늄을 생산하지 못하게 아라크 중수로를 경수로로 재설계·재건설하고 핵연료봉을 파괴 또는 제거하는 동시에 사용후 핵연료를 국외로 반출하며 재처리 연구·개발(R&D)을 무기한 수행하지 않기로 했다.
이를 위해 IAEA가 25년간 포르도, 나탄즈 등의 모든 핵 시설을 정기적으로 사찰하면서 핵개발 활동을 감시할 수 있도록 했다.
무함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포르도 핵시설은 아니더라도 나탄즈에서 우라늄 농축을 계속하게 된다”면서 “유엔 안보리의 이란 제재 결의안은 6월 최종 합의문이 나오는 대로 종료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