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2015년산 건고추 재배면적 감소와 대응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 이후 국내 건고추 재배면적은 연평균 5%, 생산량은 연평균 5.7%씩 감소했다.
지난달 표본농가를 조사한 결과 올해 건고추 재배 의향면적은 지난해 (3만6120㏊)보다 4.9% 감소한 3만4350㏊ 수준이었다. 5년 전인 2000년(7만4471㏊)과 비교하면 절반 이상(53.9%) 줄었다. 이추세라면 2015년산 건고추 재배면적은 역대 최소가 될 것으로 연구원은 전망했다.
시장 개방, 농가 고령화, 노동생산성 저하 등으로 생산량은 평년보다 6∼34% 감소할 전망이다.
반면 고추 수입은 꾸준히 늘었다. 2000∼2013년 고추류 수입량은 연평균 9.4%씩 증가했으며 국내 생산량이 최저였던 2011년 수입량은 11만9256t으로 가장 많았다.
2010∼2013년 고추 수확농가의 70세 이상 노령화 비율은 37.6%로 전체 농가 평균(34.6%)보다 높았다. 1000㎡당 노동력 투입시간은 고추가 161시간으로 마늘(124.4)이나 양파(102.5)보다 많았다.
건고추 자급률은 2000년 89.4%에 달했으나 재배면적 감소로 생산량이 급감하고 수입량은 늘면서 지난해 51.5% 수준으로 낮아졌다.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급등하면 다음 해 재배면적 확대, 가격 하락, 재고량 증가 등으로 이어져 중장기적인 수급불안이 일어날 수 있다.
농촌경제연구원은 건고추 수급 안정 방안으로 △농협 계약재배 확대 등을 통한 적정 재배면적 유지 △생육관리·지도 등으로 단수 증대 노력 △중장기적인 품종 개발 추진 등을 제시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