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최서윤 기자 = 그리스의 채무불이행(디폴트)이 임박했다는 우려가 부상하고 있다.
영국 일간 더타임스 “그리스 집권 급진좌파연합(시리자)은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과 국제통화기금(IMF)에 ‘이달 말까지 국고가 바닥나기 때문에 2주 내에 3억700만 유로(약 3739억원)의 분할분 부채를 상환할 수 없다’고 밝혔다”고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시리자 대변인 니코스 필리스는 “구제금융 지원협상이 타결되지 않으면 그들(유로존과 IMF)은 돈을 받지 못할 것”이라며 “연금·임금 지급과 IMF (부채상환) 둘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전자가 우선”이라고 경고했다. 긴축정책 이행을 강행하기보다는 디폴트를 감수하겠다는 의미다.
반면 유로존과 IMF는 그리스가 앞서 약속한 긴축조치를 이행하지 않으면 72억유로 규모의 구제금융 지원금을 지급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그리스가 약속한 긴축조치에는 연금 삭감, 임금 감축과 근로자 해고를 용이하게 하는 노동시장 개혁 등이 포함돼 있다. 그리스 구제금융 협상은 유럽연합(EU)과 IMF가 부여한 긴축조치에 반대하는 시리자가 지난 1월 집권한 이후에 교착상태에 빠진 상태다. 더타임스는 “그리스가 IMF 부채를 상환하지 못하면 유로존은 오는 여름에 자본 통제, 그리스 경제 파탄, 유로화 해체로 이어지는 심각한 위기를 맞게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리스의 자금이 빠르게 고갈되면서 투자자들과 정책 담당자들도 디폴트 가능성과 그 결과에 대비하게 시작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이날 보도했다. FT는 “단기간에는 그리스 정부가 채무를 이행하지 못하는 상대에 따라 디폴트의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고 전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의 경우 디폴트 선언에 대한 조치를 취하기까지 수개월이 소요될 전망이다.
FT에 따르면 이론적으로는 디폴트 외에 민간 채권자나 예금주들의 손실 분담이나 유로존 전체가 그리스 은행 시스템을 보증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 방법은 국내·국제적으로 모두 어렵다. 만약 ECB가 그리스에 ‘긴급유동성지원(ELA)’를 중단하게 되면 그리스 정부는 뱅크런(대규모 예금인출)을 막기 위해 자본을 통제하고 유로존에서 탈퇴해 ‘드라크마화’를 다시 찍어내는 수밖에 없다고 FT는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