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이 세분화돼 확대 시행됨에 따라 시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불안감 해소를 위해 이달부터 본격적으로 선진국 수준의 원자력 방사능 방재시스템 구축을 추진해 나간다.
먼저, 원자력 안전과 방사능 방재를 위해 가장 중요하고 기초적이며, 최우선 조치되어야 할 환경방사선(능) 감시를 위해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과 업무협약을 지난 18일 체결했다. 이를 통해 관련정보 공유와 전문적인 환경방사선(능) 탐지·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자원·기술 지원 분야에 상호협력하기로 했다.
단기적으로는 △환경방사선(능) 감시망 최대 50㎞까지 확대 구축 △갑상선방호약품 추가 확보 및 비상경보방송시설, 광역차원의 구호소 등 비상대응시설 추가 확충 △연합훈련(5년 1회→1년 1회)·합동훈련(4년 1회→2년 1회) 주기단축, 주민보호훈련 신설(연 1회), 환경방사선(능) 탐사 및 권역별 방사선비상진료 집중훈련(연 1회) 등의 방사능방재훈련 강화를 통한 비상대응능력 구비 △신규 포함 기초지자체 전담인력 조기 충원 △방사능 방재계획 및 행동매뉴얼 전면 개편 등을 강력하게 추진할 예정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원자력 재난대응 통합시스템 구축, 장기가동원전 안전성 연구 거점센터 설립 추진, 동남권 방사선비상진료 인력 양성 협력 등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원전 소재 광역시·도 행정협의회, 원자력안전대책위원회 분과회의 등 자문을 통해 원자력 안전대책 및 방사능방재계획에 적극 반영하고 전문기관과 지속적인 업무협의, 자체 건의사항을 도출해 중앙부처와 원자력안전위원회에 적극 요청하는 등 후속조치 과제를 내실 있게 추진해 세계 최고의 원자력 안전대책 수립과 방사능 방재시스템 구축으로 시민의 안전을 최우선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