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관홍 도의원은 “항만은 100년 대계를 내다보고 가야한다. 근본적으로는 신항계획은 찬성한다” 며 “하지만 삶의 터전에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어민에게 사전에 알리지 않은 점에 대해 제주도를 질타하지 않을 수 없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제주신항기본계획 구상 공청회’가 이날 지역 어민주들의 반발로 파행으로 끝났다.
앞서 제주도는 지난 22일 오는 2030년까지 제주시 탑동 앞바다 일대 등을 매립해 대규모 해양복합시설을 갖춘 ‘제주신항’을 건설하겠다는 청사진을 밝혔다.
송기진 (주)혜인이엔씨 전무이사는 “기존 탑동항만 계획은 '항만 개발'이라는 측면이 아닌 월파 피해방지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며 “따라서 원도심 재생 사업과의 연계성이 미흡하다는 한계가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2020년 크루즈 입항횟수는 356회에 이용객 53만명, 2030년에는 637회에 103만 명이 제주를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 며 “이는 이론적 값으로도 크루즈 선석 3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자 이날 참석한 어민들은 “현재 탑동의 월파 문제는 최초 공사를 잘못해 생긴 문제가 아니냐” 면서 “그걸 보강하는 사업을 하겠다면 이해를 하겠는데, 막대한 예산을 들여서 공사를 하는 이유가 뭐냐”고 따져 물었다.
그러면서 “현재 사업계획 부지 탑동 바다는 고등어가 산란을 하는 등 각종 생물들이 서식하는 천혜 환경지역” 이라며 “신항이 개발되면 연안에서 조업하던 것을 전부 장거리 조업으로 전환해야 되고, 장거리 조업을 하려면 당연히 유류비, 조업시간이 늘어 결국 손해는 우리 어민들의 몫이 될 것이 뻔하다. 누가 그 책임을 지겠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해양전문가이기도 한 현덕규 변호사는 “공무원들은 숫자에만 의미를 두기 때문에 크루즈에 포커스를 둔 것 같다” 며 “크루즈는 기본적으로 선박에서 숙식이 해결돼 밖에서 잠을 잘 이유도 없고, 음식을 먹더라도 한정되게 소비하기 마련”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결국 포커스가 전시성, 홍보성에 치우친 나머지 너무 크루즈에 집중돼 있다. 이제라도 어민들이 느끼는 소외감에 공감해야 한다” 며 “항만시설은 크루즈가 아닌 로로선 시스템 정착이 우선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최근 항만의 컨셉은 선미부터 접안하고 있다” 면서 “그러나 제주신항의 계획은 측면에서부터 진입하게끔 돼있다. 누가 만든 계획인지는 모르겠지만 현대적인 부두시설에 많이 뒤쳐진 모델”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이생기 도 해양수산국장은 “제주신항 계획은 아직 확정된 것이 아니라 이제야 시작하는 단계이다. 어민들을 비롯해 지역민들과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에둘러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