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교육부에 따르면 교사 해외파견 사업을 위한 예산으로 100억원을 요구했다.
올해 교사 해외파견 사업 예산은 7억원으로 20명을 보내는 데 그쳤지만 100억원으로 지원 규모가 확대될 경우 300명까지 보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교사 해외파견 사업 확대는 공정개발원조(ODA)의 일환으로 개발도상국의 교육 발전에 기여하고 교사의 견문을 높여 교육력을 높이기 위해 추진한다.
사업은 국립국제교육원이 위탁을 맡아 수행하고 있다.
국립국제교육원은 예산이 확정되면 시도교육청을 통해 선발 공고를 내고 모집에 나설 예정으로 어학 능력 등을 감안해 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파견 지역은 아프리카나 중남미, 동남아 등 개도국이 중심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교사 해외파견 확대는 임용시험에 합격한 발령 대기자도 대상에 포함할 예정이다.
대기 발령 합격자를 보낼 경우 적체를 해소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교육부는 해외 파견 교사들의 기여도를 감안해 승진시 가산점 등 특혜를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교사 해외파견사업 확대는 교원단체총연합회가 지난 5월 스승의 날 행사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건의한 내용이다.
안양옥 교총 회장은 최근 “교총이 지난 스승의 날 행사에서 요청한 해외 개도국 교사 파견 사업을 수용해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수석 비서관 회의에서 교사 파견 확대를 지시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대통령의 지시에는 지난 5월 인천 송도에서 열렸던 세계교육포럼에 참가했던 국가들의 요청이 컸던 것도 영향을 미쳤다.
세계교육포럼에서는 유네스코를 비롯한 기구에서 우리나라의 교육 발전상이 소개되면서 6.25 전쟁으로 폐허가 돼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이제 원조를 제공하는 나라가 되기까지 교육 발전의 기여가 컸다는 점이 부각된 가운데 각국으로부터 경험을 전수받고자 하는 요청이 쇄도했다는 후문이다.
당시 행사에 참석한 국가들과의 양자 협의에서 황우여 사회 부총리도 교사 파견 요청을 받았다.
황 부총리는 세계교육포럼이 끝난 후 개발도상국에 대한 교사 파견을 적극적으로 확대하겠다며 세계교육포럼 기간 만난 외국 교육장관들이 교원을 보내달라고 많이 요청했다고 소개하기도 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