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박(비박근혜)계인 원 의원이 원내대표를 맡을 경우 '러닝메이트'인 정책위의장은 친박(친박근혜)계 몫이 될 것으로 점쳐진다.
새누리당은 오는 14일 새 원내대표를 경선이 아닌 합의추대 방식에 따라 선출하기로 지도부가 의견을 모았다. 이번 '국회법 거부권 정국'에서 불거졌던 당내 계파 갈등이 재연되면서 내홍을 추스리기 위해선 경선보다는 합의추대가 효율적이란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유승민 원내대표 시절 정책위의장이었던 원 의원이 원내사령탑을 물려받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유력하다.
정책위의장에서 원내대표로 직행해 자연스럽게 원내지도부 역할에 연속성을 기할 수 있고, 지역구(경기 평택갑) 또한 수도권인 만큼 내년 총선에 대비하는 효과가 장점으로 꼽힌다. 그는 비박계로 분류되지만, 당내 친박계로부터도 큰 거부감을 사지 않는 계파색이 옅은 인물로 평가받는 점도 한 이유다.
다만 유 의원의 사퇴로 함께 '2선 퇴진' 한 원 의원에게 곧바로 원내대표를 맡길 경우 명분이 약하다는 이유로, 일부 비박계의 반발로 '합의추대'가 벽에 부딪힐 가능성도 있다.
3선의 주호영·장윤석 의원이 대안으로 거론되지만, 각각 지역구(대구 수성을, 경북 영주)가 유 의원과 같은 대구·경북(TK)이라는 점이 걸림돌이다. 지도부의 기류는 '수도권 원내대표'로 기울었기 때문이다.
원내대표 파트너인 정책위의장은 친박계 핵심 의원이 유력시 되고 있다. 지난 원내지도부가 비박계로만 채워져, 주요 고비마다 청와대와의 소통이나 당내 화합에 문제가 생겨 끝내 '유승민 정국'이 도래한 전철을 밟지 않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3선의 홍문종(경기 의정부을) 의원과 재선의 김재원(경북 군위·의성·청송)·윤상현(인천 남을) 의원이 낙점될 것이라는 전망이 힘을 받는다.
당 사무총장을 역임했던 홍 의원은 지난번 원내대표 경선 때 정책위의장 후보로 뛰었고, 김 의원은 원내수석부대표를, 윤 의원은 원내수석부대표와 사무총장을 지낸 만큼 총선을 앞두고 정책 수립에 적합하다는 평가다.
원내대표를 보좌해 여야 협상의 실무를 전담하는 원내수석부대표로는 친박계와 비박계 재선 의원이 두루 거론되는 가운데 권성동(강원 강릉)·이학재(인천 서·강화갑)·조원진(대구 달서병) 의원이 거론되고 있다.
비박계인 권 의원은 국회 주요 특별위원회 간사를 두루 맡아 대야(對野) 협상능력이 검증됐다. 친박계인 이 의원은 지난 원내지도부 구성 때 원내수석부대표 후보로 거론됐고, 역시 친박계인 조 의원은 공무원연금 개혁 협상 도출에 기여한 공로가 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