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날 간담회에는 이상범 인천시 환경녹지국장을 비롯해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공단,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수도권기상청 등 13개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지난 2010년 수립한 「인천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을 수정·보완해 2020년까지의 중기계획, 2035년까지의 장기계획을 수립하는데 적극 협조하기로 했다.
「인천시 기후변화대응 종합계획」은 저탄소 녹색성장기본법 및 인천시 기후변화대응조례에 근거해 20년을 계획기간으로 5년마다 종합계획을 수립·시행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한편,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과 이에 따른 자연재해로 대규모의 인적피해와 경제적 손실을 가져오고 있으며, 그 규모와 피해액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서는 지구 평균온도를 산업화 이전 대비 2℃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 2020년 이후부터 전 세계 국가가 함께 노력하는 신 기후체제하에서의 온실가스 감축노력을 펼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지난 6월 30일 2030년 BAU 대비 37% 감축이라는 국가 감축목표를 UN에 제출한 바 있다.
인천시도 녹색기후기금(GCF) 유치 도시로서 국제적, 범정부적 온실가스 감축노력에 적극 동참하기 위해 모범적이고 선제적인 기후변화대응 중장기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당초 외부 전문기관의 연구용역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었으나, 시 관련부서와 TF팀을 구성하고 유관기관과의 지원 네트워크를 통해 내년 2월까지 자체적으로 수립하기로 결정했다.
인천지역에는 영흥화력 등 대형 발전시설과 공항, 항만, 수도권매립지 등 대형 온실가스배출시설이 입지해 있어 산업시설에 대한 체계적인 감축정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1인 1톤 온실가스 줄이기 운동을 통한 녹색생활 활성화, 대중교통시설 등 녹색교통 확충, 저탄소 빌딩 등 녹색건축물 확대, 폐기물 에너지화를 통한 녹색자원 확대, 녹지 확충을 통한 흡수원 조성 등 저감사업을 계획에 반영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이번 간담회에서 논의된 사항을 온실가스 감축정책 수립에 적극 반영하는 한편, 앞으로 시민이 추구하는 「저탄소 녹색도시, 친환경 모범도시」를 위해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