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7/16/20150716152231900207.jpg)
대우조선해양이 노르웨이 송가 오프쇼어로부터 수주해 건조중인 반잠수식 시추선 설비. [사진=대우조선해양 제공]
아주경제 양성모 기자 = 조선업계에 먹구름이 몰려들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이 2분기 수조원대의 적자를 기록할 전망이며, 삼성중공업도 1조원의 손실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특히 대우조선해양의 손실과 관련, 일각에서 은폐 의혹이 제기돼 파장이 일고 있다. 업계에서는 전임 사장이 연임을 위해 손실을 축소했다고 지적하고 있으며, 나아가 대주주인 산업은행측의 배임 가능성마저 나오는 실정이다.
16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의 올 2분기 영업적자 규모는 최소 1조원에서 최대 3조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알려졌다. 원인은 해양플랜트 부문에서 자금유입이 없었고, 대규모 공사손실 등이 이어졌기 때문이다. 이는 노르웨이 송가 오프쇼어로부터 수주한 반잠수식 시추설비에서 약 7000~8000억원 수준의 손실이 예상되고, 올해 다수의 해양설비를 인도할 예정이어서 드러나지 않은 부실이 추가로 나올 수 있다. 또 대우조선해양의 연결법인인 루마니아 망갈리아 조선소도 적자가 예상돼 수조원대의 손실이 불가피한 상태다.
대우조선해양이 올해 인도 예정인 해양설비는 송가 프로젝트 3척을 비롯한 반잠수식 시추선과 드릴십, FLNG(부유식 액화천연가스설비) 등 총 8척으로 수주금액으로는 약 45~50억 달러 수준이다.
업계는 이미 예견된 일이라는데 입을 모은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이 지난해 대규모 대손충당금 이슈로 타격을 입었을 당시, 엇비슷한 건조능력을 보유중인 대우조선해양만 흑자를 유지하는 게 납득하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현장지휘 인원이 부족해 공기를 제때 맞추지 못한 사례가 있어 당시 흑자는 더욱 이해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대우조선해양측은 충당금 적립 시기가 다른 업체와 달라 일부러 늦추거나 은폐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회사 관계자는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의 충당금 적립을 보면 공사가 10%가 진행된 상황에서 200억이 적자가 났을 경우, 거기에 10을 곱한 액수를 충당금으로 쌓은 것으로 안다”며 “하지만 대우조선해양은 해양설비를 인도하기 직전에야 손실을 인지할 수 있고, 충당금도 손실발생 시점에 쌓는 것을 윈칙으로 하기 때문에 은폐한 것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대형조선사 관계자들의 말은 다르다. 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은 당시 진행중인 해양설비 공사의 원가 재계산을 통해 충당금을 쌓았기 때문이다. 한 조선업계 관계자는 “원가계산을 다시 해보면 부실규모는 어느 정도 파악이 가능하다"며 "당시 삼성과 현대가 대규모 부실을 원가 재계산을 통해 발견했지만, 대우조선해양측은 손을 놓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또 “만일 부실을 알고도 밝히지 않았다면 이는 모럴헤저드(도덕적헤이)며, 실제 몰랐다고 하면 무능력의 극치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우조선해양의 실적악화가 수면위로 떠오르자 대주주인 산업은행 등은 자금지원 등 회생을 위해 총력을 다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중소조선소 자금지원에 소극적인 채권단이 대우조선해양에만 특혜를 주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내놓고 있다. 대우조선해양 역시 ‘대마불사(大馬不死)’를 애초부터 의식하지 않았냐는 의혹도 나오고 있다.
특히 산업은행도 부실에 대한 책임론에서 자유롭지 못한 상태다. 지난 10년간 산업은행 출신 인사들이 CFO(최고재무책임자)를 차지해 왔고, 대우조선해양의 자금집행에 있어 강도높은 간섭이 이뤄지는 상황에서 이같은 부실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산업은행이 이같은 사실을 몰랐다면 기업을 지원해야 하는 국책은행으로서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라며 “대형조선소뿐 아니라 우리나라 조선업계의 근본적인 문제를 찾고 이에 대한 해결노력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